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3일 첫 TV토론에서 ‘4인 4색’의 서로 다른 부동산 처방을 제시했다.
대선 후보 4명은 이날 열린 TV토론에서 첫 공통질문으로 ‘대통령이 된다면 가장 먼저 손 볼 부동산 정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저마다의 해법을 내놓았다.
이 후보는 “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이 제1순위가 될 것”이라며 “국민께서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한 대대적인 공급정책을 제일 먼저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내 집이든 전셋집이든 일단 집을 구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제도들을 제거해야겠다”며 “먼저 대출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안 후보는 “부동산 정책의 목표는 바로 주거 안정이고 그러려면 주택가격의 안정이 필요하다”며 “많은 공급을 통해 집이 없는 사람이 자기 집을 갖게 하겠다”고 공약했다.
심 후보는 “집값 안정이 가장 시급하다”며 “그러기 위해선 지금 집값이 최정점이고 집값을 하향 안정화한다는 정치권 합의가 제일 우선되어야 한다”고 공언했다.
4당 후보들은 상대방 부동산 공약을 물고 늘어지며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안 후보는 이 후보에게 “문재인 정권의 부동산 정책에 몇 점을 주겠냐”며 포문을 열었다. 이 후보는 “점수를 숫자로 매기긴 어려운데 매우 잘못된 부족한 정책이었다”면서 “그래서 저희가 여러 차례 사과드렸다”고 몸을 낮췄다.
‘문재인 정권의 후계자가 맞느냐’는 안 후보의 질문에 이 후보는 “후계자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새로운 이재명 정부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심 후보는 “집값 폭등이 공급 부족 때문이라는 것은 전형적인 건설업자 논리”라며 윤 후보를 몰아붙였다. 그러자 윤 후보는 “그동안 실제 수요가 있는 서울에는 주택공급이 늘지 못했다”며 “정부가 계속 주택을 공급한다는 신호를 시장에 보낼 때 가격이 안정되는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안 후보는 윤 후보의 ‘군필자 주택청약 가산점 5점 공약’의 허점을 파고들었다. 군필자에게 청약 점수 5점을 더 주더라도 애초 청약에 안 될 사람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는 지적이다.
이 후보는 “심 후보와 마찬가지로 저도 공공주택 확보에 관심이 많다”며 우호적인 손짓을 보냈다. 그러나 심 후보는 “이 후보가 공공주택에 관심을 갖고 계신지 몰랐다”면서 “대장동 사업을 보면 성남시에 임대아파트를 한 채도 안 지었다”며 차갑게 응수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