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10만명 육박’ 한계상황… 정부, 대응 여력 확보 총력

입력 2022-02-04 04:04
시민들이 3일 서울 송파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하고 있다. 오미크론 변이 대응을 위한 새 의료체계가 시행된 이날부터 PCR(유전자증폭) 검사는 고위험군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그 밖의 경우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 등에서 먼저 신속항원검사를 받는다. 김지훈 기자

연일 최대를 경신하는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재택치료 인원도 10만명에 육박하며 한계치에 다다랐다. 정부는 재택치료자 관리 강도를 낮추고 관리 기관을 늘리는 등 대응 여력을 확보하고 있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3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재택치료자 대상 건강 모니터링을 하루에 고위험군 2회, 일반 환자 1회로 줄여 시행한다고 밝혔다. 종전에는 적어도 각각 3회, 2회 시행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고위험군의 경우) 하루에 무조건 2번만 모니터링한다는 게 아니다”라며 “발열 등 증상이 있으면 현장에선 하루 십수 차례까지도 모니터링하며 입원 필요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해당 조치는 확진자 급증으로 재택치료자 규모가 임계점에 다다른 가운데 나왔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신규 확진자는 이미 2만2345명으로 집계돼 4일 0시 기준으로는 2만명대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3일 0시 기준 확진자는 2만2907명으로 다시 최다를 경신한 상태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전국 9만7136명으로 정부가 앞서 밝힌 관리 한계인 10만9000명의 89.1%였다.

정부는 461곳의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을 지속적으로 늘려 대응 여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의사나 간호사 한 명이 담당하는 재택치료자 수도 늘릴 계획이다. 현행 인력 요건은 환자 150명당 의사 1~2명, 전담 간호사 3~5명 이상이다.

일본에서 시행하는 ‘재택 요양’도 선택지 중 하나다. 젊은층 등 저위험군에 한해 선제적으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재택치료자 본인이 몸에 이상을 느낄 때 관할 기관에 보고하는 체계다. 손 반장은 “(우리나라도) 향후 확진자 증가 시에 여러 시나리오 중 하나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역학조사체계 역시 내주부터 일부 자율 기반으로 바뀐다. 확진 이후 치료에 들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현재 전화로 문답하는 기초역학조사를 오는 7일부턴 대상자가 직접 앱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시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본격적으로 전국에 확대된 신속항원검사는 낮은 정확도라는 불안 요소를 다시 드러냈다. 지난달 26일부터 엿새 동안 광주, 전남, 경기도 안성과 평택에서 8만4000건의 자가검체 신속항원검사가 이뤄져 687건이 양성으로 판정됐는데, 이 중 23.9%는 이후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정됐다.

음성 판정의 정확성은 비교적 높다는 게 정부 입장이지만 의료계에선 검사 시기라는 변수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신속항원검사 양성 판정을 위해 필요한 바이러스의 양은 PCR 대비 많은데, 그만큼 바이러스가 충분히 증식하지 않은 감염 초기엔 검사 정확도가 떨어져 위음성자(가짜 음성)로 인한 전파가 속출할 수 있다는 취지다. 방역 당국은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더라도 마스크 착용 등 수칙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