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의원에서 코로나19 검사부터 치료까지 ‘원스톱’으로 대응한다는 구상이 예상보다 훨씬 낮은 참여율로 첫 걸음을 뗐다. 정부는 이달 안에 내과·이비인후과·소아청소년과·가정의학과 40% 이상이 동참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코로나19 위험도에 대한 충분한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새 체계가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3일 오후 기준 전국에서 당초 발표(343곳)의 60%에 불과한 207개 의원이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이후 유전자증폭(PCR) 검사까지 실시할 수 있는 곳은 55곳에 그쳤다. 나머지 152곳에선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 판정이 나올 시 선별진료소로 가 PCR 검사를 받아야 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자료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이 3만3337곳인 것을 감안하면 참여율이 극히 저조하다. 이창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휴 직후 (코로나19가 아닌) 일반 환자들의 내원이 늘어난 데다가 동선 분리 등을 준비해야 해 (의원들이) 여유를 두고 시행하는 상황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참여가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정책관은 국민일보에 “호흡기 환자를 주로 보는 내과와 이비인후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만 따졌을 땐 전국에 1만여곳이 있는데 이달 중순쯤엔 그 중 4000~5000곳이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밝혔다. 동네 의원이 코로나19 환자를 보는 데 가장 큰 장벽으로 꼽는 일반환자와의 동선 분리 등도 필수 요건이 아니라 권장 사항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느슨한 요건에 되레 우려를 표하는 시각도 있다. 원내 감염 우려가 있을 뿐더러 코로나19의 위험도를 여전히 높게 인식하는 사회 분위기와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사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새 검사·진료체계를 사실상의 방역 완화로 규정하면서 “이 같은 조치가 불가피하다면 의료기관뿐 아니라 일반 국민 대상 방역 조치도 완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계에선 의원들이 코로나19 환자를 원활히 소화하기 위해 국민적 공감대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수현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민원 창구로 전락하거나 주변 상권의 반발이 해결되지 않으면 의원급 의료기관들이 참여를 주저하게 될 것”이라며 “(확진자 폭증으로) 어쩔 수 없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데에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경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