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 원인을 둘러싸고 시공사 HDC현대산업개발(현산)과 감리, 하청업체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붕괴사고수사본부(광주경찰청)는 3일 과실 규명에 대해 “현산, 하청업체, 감리 등 진술이 각각 달라 진술의 신빙성을 입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현산 관계자 6명, 감리 3명, 하청업체 관계자 2명 등 총 11명을 업무상과실치사상, 건축법 위반,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붕괴에 영향을 끼친 주요 과실로는 동바리(지지대) 미설치, 역보(수벽) 무단 설치 등이 지목된 상태다. 39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표준시방서 기준을 어기고 아래 3개 층의 동바리를 철거한 것에 대해 하청업체 측은 “동바리 철거는 현산 지시에 의해 철거한 것”이라고 진술했다. 그러나 현산 측은 “동바리 철거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며 서로 다른 진술을 하고 있다.
역보 무단 설치에 대해서는 하청업체 측은 “현산과 협의해 진행해 공법을 변경한 것”이라고 했고, 현산 측은 “하청업체의 공법 변경 사실을 알고는 있었으나, 구조검토가 필요 없다고 생각했다”고 진술하고 있다. 경찰은 양측 진술이 다른 부분에 대해 다른 추가 입증 자료 등을 확보해 진술의 신빙성을 따져볼 계획이다. 경찰은 현산 본사 측이 현장의 모든 사안을 보고받고 지시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향후 현산 본사의 책임 규명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현산에 대해 법이 허용하는 가장 강력한 처벌을 정부에 요청했다. 이 시장은 “붕괴한 201동은 비전문가가 봐도 다시 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나머지 7개 동은 입주 예정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아파트를 짓도록 전문가에게 점검을 맡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대형 콘크리트 잔해물 추락으로 중단됐던 매몰자 및 실종자 구조·수색작업은 이날 재개됐다. 현재 26·27층에서 매몰자가 1명씩 각각 발견돼 수습 중이다. 남은 실종자는 2명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