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정당 대선 후보들의 첫 TV토론은 아쉬움을 남겼다. 후보 간 뚜렷한 정책적 차별성을 확인하기 쉽지 않았고, 질문과 대답이 겉돌면서 핵심을 비껴가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다만 부동산, 북한의 미사일 도발 대책, 일자리 등 주요 이슈에 대한 후보들의 생각을 직접 들어볼 수 있었다는 점은 평가할 대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심상정 정의당,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참여한 방송 3사 합동초청 TV토론이 3일 밤 개최됐다. 이재명·윤석열 후보의 양자토론이 법원의 제동으로 무산된 뒤 우여곡절 끝에 열린 TV토론이었다. 다만 토론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을 둘러싼 공방은 기존 주장을 넘어서지 못했다. 윤석열·심상정 후보는 이 후보를 상대로 대장동 책임론을 제기했으나, 이 후보는 “이미 전부 탈탈 털다시피 검증됐던 사실”이라며 예봉을 피해갔다. 사드 추가 배치, 청년층 부동산 공급 정책, 중소기업 육성책 등에 대해서도 토론이 이뤄졌지만, 후보 자신들의 입장을 설명하는 데 그쳤다. 다만 후보들인 네거티브 공격을 서로 자제하는 모습을 보인 것도 긍정적이다. 이 후보는 윤 후보 부인 김건희씨 관련 의혹을 지적하지 않았고, 윤 후보도 이 후보 부인 김혜경씨 의혹을 문제 삼지 않았다. 가족 문제가 거론되지 않고, 측근 문제도 거론되지 않았다.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는 비판을 받는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원론적이지만 후보들이 국민연금개혁이 필요하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인정한 것도 주목할만한 대목이었다.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선거운동이 제한된 상황이다. 생방송 TV토론은 언론을 통해서만 접했던 후보들의 자질과 정책을 직접 비교 검증할 수 있는 소중한 자리다. 대선 투표일까지 33일이 남았다.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방송토론회위원회가 주관하는 TV 토론회가 앞으로 3회 더 열린다. 각각 경제 분야, 정치 분야, 사회 분야 토론이다. 후보들은 첫 번째 TV토론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고치고,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말솜씨는 중요하지 않다. 국민이 바라는 것은 상대 후보에 대한 비판이 아니다. 앞으로 5년간 나라를 어떻게 이끌고 갈 것인가에 대한 청사진과 그 청사진을 실행할 수 있는 자질이다. 선관위도 TV토론이 조금 더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고민했으면 한다. 기계적 형평성이나 공정성에 얽매여 후보 간 토론이 부실화되는 점은 개선돼야 한다. 차제에 법정 토론회 횟수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