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되풀이된 코로나 대응 시행착오, 국민 인내심 시험하나

입력 2022-02-04 04:05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3일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종이에 적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급속한 확산에 맞서 3일 시행된 대응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았다. 이틀 연속 2만명대 확진자가 나오는데 정부가 말한 호흡기치료의료기관(동네 병·의원)이 어디인지 확인조차 할 수 없는 상황까지 벌어진 것이다. 방역당국이 뒤늦게 병·의원 명단을 공개했지만 검사 키트와 장비를 받지 못한 곳이 많아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설 연휴 때문에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다는 말은 없던 휴일이 갑자기 생긴 것도 아닌 만큼 구차한 변명이다. 의료계와의 조율, 세부지침 마련 등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그동안 전문가들의 절박한 충고를 허투루 들은 것이다.

오미크론 대응 체계의 핵심은 동네 병·의원이다. 전염력이 델타 변이보다 높아 하루 확진자가 10만명이 될 수도 있으므로 경증 환자의 1차 진료와 치료를 일반 병·의원이 맡아 의료 시스템에 가해지는 부담을 완화한다는 것이다.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신속항원검사로 대체하고 재택치료를 늘리는 것도 코로나19를 일반 독감처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런 전략을 지난달 14일 발표했다. 1주일 전부터는 광주광역시, 경기도 평택시 등 4곳에서 우선 시행했다. 그런데도 참여 병·의원 명단을 공지하겠다는 약속을 전국적 시행일 오전까지도 지키지 못했다. 게다가 전국적 시행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참여율이 저조하다. 1300만명이 사는 경기도 8곳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340여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10월 단계적 일상 회복, 12월 방역 패스 도입 때 있었던 ‘예상된 시행착오’가 이번에도 어김없이 반복되고 있다.

정부는 늦었지만 이제라도 미비한 점을 보강하고 정확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국민들은 지금 코로나19가 의심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헷갈리고 있다. 새 대응 체계가 시행돼 검사부터 진료 방식까지 모두 달라졌는데 방역 당국은 어려운 전문 용어 뒤에 숨어 변명만 하는 것처럼 보인다. 의료계와 신속하게 협의해 세부적인 진료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명료하게 알려야 한다. 되풀이되는 시행착오와 무능한 행정을 참는 인내심에도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