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FC 의혹’ 檢 자체 조사 잡음… 특임검사제 거론

입력 2022-02-03 04:08
사진=연합뉴스

김오수(사진) 검찰총장 지시에 따라 검찰 자체 조사가 진행 중인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을 놓고 파열음이 이어지고 있다. 박은정 성남지청장이 사건 재수사를 막으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 수원지검이 경위 파악에 나섰지만, 김 총장이 앞서 박 지청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해당 사안을 챙겼던 정황이 드러나며 공정성 논란까지 번진 상태다. 검찰 내부에선 독립된 ‘특임검사제’를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고개를 들고 있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총장은 설 연휴를 앞둔 지난달 27일 신성식 수원지검장의 대면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정확하게 경위를 파악하라”고 당부했다. 신 지검장은 당일 수사무마 의혹에 대한 1차 경위 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에 관여하지 않은 성남지청 형사2부장이 작성한 보고서였다.

하지만 검찰 안팎에선 수원지검에 정식 보고가 올라가기 전에 박 지청장이 보고서 내용 일부를 수정하라고 지시했으며, 성남FC 수사 검사가 박 지청장에게 그간 보고했던 내용과 일시 등을 기록한 이른바 ‘수사 일지’도 보고에서 빠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논란이 일자 성남지청은 “수사팀 의견이 보고서에 그대로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본격적인 진상 조사는 설 연휴가 끝난 뒤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수원지검은 지난 25일 사의를 표명한 박하영 성남지청 차장검사와 수사를 담당한 A검사에 대한 진술 청취는 아직 진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차장검사는 성남FC 의혹의 재수사 및 보완수사 필요성을 박 지청장에게 여러 차례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사직서를 제출했다.

성남FC 의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성남시장이던 2015~2017년 성남FC 구단주를 맡으며 네이버 두산 등 6개 기업에서 후원금 약 160억원을 받고 해당 기업들에 각종 편의를 줬다는 내용이다. 성남지청 수사과는 지난해 7월 네이버가 성남FC에 낸 후원금 39억원의 자금 흐름을 보기 위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자료 조회를 요청하려 했다. 하지만 대검 반부패강력부를 통해 관련 보고를 받은 김 총장은 박 지청장에게 전화해 ‘절차상 문제’를 지적하며 제동을 걸었다. 이에 대검은 “(김 총장이) FIU 조회 요청 자체를 반려한 것이 아니며, 적법절차 준수를 위해 수사지휘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법조계에선 김 총장의 관여 사실이 드러난 이상 진상 조사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이 많다. 이번 사태의 열쇠를 쥐고 있는 박 차장검사가 조사 과정 등에서 명확히 목소리를 낸다면 수사무마 의혹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양민철 임주언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