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대응의 키를 쥔 동네 병의원 중심 의료체계가 시작부터 혼선을 빚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번져나가는 반면 이에 맞서야 할 의료 대응 현장은 인력·방역물품 부족과 불명확한 지침 등으로 대응 채비를 갖추지 못하는 상황이다.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가 적용된 경기도 안성의 A의원은 27일 “오늘은 코로나19 검사를 할 수 없다”며 신속항원검사를 문의하는 내원 환자들을 돌려보내느라 분주했다. A의원 관계자는 환자를 받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코로나 신속항원검사를 담당할 의료 인력 한 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고 말했다.
A의원은 오미크론 대응 체계 가동에 따라 정부 지정 호흡기안심클리닉으로 운영된다. 중증환자와 고위험군을 제외한 검사 희망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안성 시내에 있는 호흡기안심클리닉 3곳 중 유일한 동네 의원이기도 하다. 하지만 의료인 수가 적은 동네의원이라 한 명이라도 결원이 생기면 운영에 큰 차질을 빚는다. 이 의원은 새로 인력을 충원할 때까지 신속항원검사를 진행할 수 없다고 방역당국에 통보했다.
안성과 함께 26일부터 오미크론 대응 의료체계를 적용한 광주·전남과 경기도 평택의 사정도 비슷했다. 이날 광주의 경우 3곳에서 신속항원검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었다. B병원의 경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지급받고도 검사를 보류했다. B병원 관계자는 “아직 정부 지침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내부적으로 일반 내원객과의 동선 정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혼란스러워 명절 이후에 상황을 지켜본 뒤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병원은 “검사 키트 수량이 부족해 입원 환자들 외에 내원하는 검사 희망자에겐 검사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별진료소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안성의 한 임시선별검사소는 전날까지도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가 적용되는 기관인 줄 몰랐다고 한다. 검사소 관계자는 “26일 오후에 우리가 맡아야 할 역할에 대해 영상 교육을 받고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며 “밤에야 방역당국으로부터 키트를 보급받아 27일 부랴부랴 검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검사소 관계자는 “어제까지만 해도 오늘은 (키트가) 들어온다고 했는데 아직도 안 들어왔다”면서 “수시로 지시가 바뀌는 바람에 너무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자와 신속항원검사 대상자 분류가 모호해 두 그룹이 섞인 채로 줄을 기다리는 경우도 있었다. 현장 요원이 일일이 물어본 후 구분해야 하지만 인력이 부족해 뒤엉킨 채로 줄이 이어졌다. 안성의 한 선별진료소에선 신분증 확인을 위해 동원된 육군 현장지원팀이 대기 인원을 분류하는 모습도 보였다.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은 이민규(24)씨는 “안내 표지판도 설치돼 있지 않고, 어디서 음성확인서를 받는지조차 헷갈렸다”며 “현장이 아직 준비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안성=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