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사흘 연속 최다치… 정부 “설연휴 뒤 거리두기 강화 없다”

입력 2022-01-28 04:02
27일 밤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어둠 속에 길게 줄지어 서 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만4518명을 기록해 이틀 연속 1만명을 넘어섰다. 연합뉴스

오미크론 변이 확산 영향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내리 최다치를 경신했다. 향후 5주 이상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위중증 환자도 늘 것으로 전망되지만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현재보다 강화하진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만4518명으로 전날보다 1500여명 늘었다고 밝혔다. 전주 같은 요일보단 8000명 가까이 늘며 지난 25일부터 사흘 연속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날 방대본 브리핑에 참석한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금의 증가세가 앞으로 5~8주 정도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재택치료자도 급증했다. 이날 0시 기준 전국에서 4만2869명이 재택치료 대상자로 집계됐다. 앞서 당국이 관리 가능하다고 밝힌 재택치료자 수 5만8000명의 74% 수준이다.

의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진료 참여 논의는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다. 야간에 환자 관리를 어떻게 할지, 의료 수가는 어떻게 산정할지 등이 남은 쟁점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서울 용산구 임시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설 연휴 이후 ‘코로나19 진료 의원’ 운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동네 병의원의 신청을 받고 있으며 1000곳 이상 확보하는 게 목표라고도 덧붙였다.

핵심은 확진자들이 더 많은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도록 하는 데 있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방대본 브리핑에서 “안전한 동선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외래 공간이 의료전달체계 안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론 코로나19 진료를 일반 진료와 시간대별로 분리해 운영하거나 예약제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확산세가 계속되면 병상 가동률 10%대로 여유를 보이고 있는 중증 의료 체계도 시험에 들게 된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350명인 위중증 환자는 다음달 초 증가세로 전환해 2월 말엔 2500명 규모까지 증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설 연휴 직후 거리두기가 강화될 공산은 크지 않다. ‘최대한 버티겠다’는 정부 입장이 확고하기 때문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거리두기 강화는) 큰 사회·경제적 비용을 수반한다”며 “강화 없이 오미크론 유행을 넘기는 게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교육 현장에서도 오미크론 대응에 들어갔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학교일상회복지원단 회의에서 “3월 개학 준비를 위해 신속 PCR, 신속항원검사 등을 활용하는 학교검사체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2월 등교 학교는 단축·원격 수업 등 탄력적으로 학사를 운영한다. 기숙학교는 입소 전후 자가진단키트로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한다.

선 화장-후 장례만 허용하던 방역 당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장례 지침은 이날 바뀌었다. 장례 먼저 치르고 화장을 하는 방안도 허용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보건용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면 유족이 운구할 수 있다. 다만 전통적인 염습 절차는 생략된다.

송경모 이도경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