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사용자에 맞춰 가전을 끊임없이 진화시키는 ‘LG 업(UP) 가전’을 내놓았다.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로 ‘고객 맞춤형 경험’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은 2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LG 업 가전은 계속 진화하며 내 삶을 더 편하게 만들고, 쓸수록 나를 이해하고 내게 맞춰주는 가전이다. 사는 순간 구형이 되는 가전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LG 업 가전은 고객의 제품 사용패턴을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고객 필요나 불편 요소 등을 파악해 새로운 기능·서비스를 맞춤형 업그레이드로 제공한다. 지속적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스마트폰·컴퓨터처럼 계속 새 제품을 쓰는 것 같은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달 출시하는 세탁기·냉장고·에어컨 등 6종을 시작으로 올해 안에 20여종의 제품군에서 업 가전 신제품을 선보이고 차츰 라인업을 늘려갈 예정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우선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된 신제품을 먼저 출시한다. 추후에 구형 모델에서 일부 기능이라도 새롭게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품 업그레이드는 LG 씽큐 애플리케이션(앱)에서 할 수 있다. 등록한 제품에 새 업그레이드 사항이 있으면 알림을 보내준다. 날씨나 옷감에 맞는 건조기능, 알레르기 원인물질 제거하는 세탁 기능을 추가하는 식이다.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기존 업그레이드와 달리 고객 필요에 따라 원하는 업그레이드를 선택하거나 아이디어를 LG전자에 제시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추가 비용 없이 업 가전을 쓰는 동안 보장된다.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도 할 수 있다. 반려동물을 키운다면, 기존 공기청정기에 펫 전용 필터를 장착하면 된다. 하드웨어 개선에는 추가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 박희욱 H&A CX담당 전무는 “펫케어 코스로 업데이트하면서 세탁볼이나 건조볼을 추가하면 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 하지만 부담이 덜 들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LG전자는 이달에 출시하는 6종의 가격은 올리지 않았다. 하지만 향후 새로운 형태로 출시될 제품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가전제품 교체주기가 길어져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류 본부장은 “내부에서도 고민이 있었지만, 고객이 가치를 느끼고 인정하면 어떤 형태로든 사업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다. 고객에 집중하자는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양한주 기자 1wee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