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발전, 수소 생태계 구축으로 가는 길의 첫 관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기술’과 ‘경제성’을 공통적으로 지목했다.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성을 확보하는 게 한국의 수소경제 기반을 다지는 지름길이라고 진단했다.
이한우 한국에너지공단 수소경제추진단장은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민일보-정태호 의원실 공동주최로 열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경제의 역할’ 포럼에 토론자로 나서 가장 큰 과제를 ‘기술’이라고 밝혔다. 수소 관련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예산 중 69.6%가 수소차 등 모빌리티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수소 생산(11.9%), 저장·유통(9.7%), 충전(8.8%)에는 예산이 적게 들어가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각종 설비의 핵심기술을 해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단장은 “미국의 수소산업 경쟁력을 100이라 하면, 한국은 81.2~84.2 수준”이라면서 “그린수소를 어쩔 수 없이 수입하더라도 그린수소 기술을 개발해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하는 수소다.
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한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7%가 에너지 연소이고, 이 가운데 60%는 산업 부문에서 나온다. 온실가스 감축이 어려운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에서 연료대체를 위해 수소가 필요한데, 기술 성숙도가 너무 낮아 별도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 연구위원은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도 해야 되지만, 수소시대에 대비해서 시장 제도와 인프라도 갖춰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수소 관련 모든 기술이 정부의 별도 지원 없이는 아직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수소경제의 잠재력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연료전지PD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의 최신 연구를 보면, 2050년에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12%를 수소가 차지할 전망이다. 30개국 이상에서 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정책, 기술, 환경 등 모든 분야에 걸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도 한계를 인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가지 한계점으로 그린·블루수소 생산기술 정체, 효율적 운송수단 미확보, 수요 창출 미비를 꼽았다. 양병내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향후 1, 2년 간은 수소경제 기반 마련에 집중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며 “기술적 부분은 5년 안에 해소할 수 있고, 경제성은 시간을 두고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