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친환경 에너지’로 평가받는 수소 에너지가 지닌 난제는 경제성이다. 현재로선 정부 지원 없이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기술 개발을 손 놓고 있을 수도 없다. 재생에너지를 대폭 늘려가겠다고 공언한 한국 정부의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수소가 필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 때 경제성이 없다며 천대받았던 태양광이나 전기차가 주류로 급부상한 전례를 참조해 수소 기술 개발에 도전적으로 매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25일 국민일보-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공동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경제의 역할’ 포럼 첫 발제자로 나선 이철용 부산대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로선 수소의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고 봤다. 이 교수는 수소가 연료인 수소 발전소 경제성을 분석해봤더니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0.47로 나왔다고 발표했다. B/C는 1보다 높으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낮으면 낮을수록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하는 지표다.
경제성이 낮게 나온 주된 이유는 연료인 수소 가격 때문이다. 이 교수의 분석대로라면 2035년 기준 ㎏ 당 3000원인 수소 가격을 1800원까지 떨어뜨려야만 경제성이 확보된다. 이 교수는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정부가 1200원을 보조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식적으로 본다면 수소 에너지의 상용화는 멀어 보인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 두 번째 발제자인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장 큰 이유로 ‘안보’를 꼽았다.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운을 뗀 이 연구위원은 제주도 사례를 들었다. 2020년 기준 제주도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16.2%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으로 충당한다. 이렇게 재생에너지를 많이 늘렸더니 버려지는 전기가 많아지는 폐해가 발생했다. 전력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봄·가을 낮 시간대에 태양광 발전 공급량이 수요를 초과한 점이 문제로 꼽혔다.
이 남는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치환한 에너지는 수소차나 수소발전 연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향후 재생에너지를 더 늘려가게 되는 상황을 고려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미래 먹거리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교수는 “수소경제 추진은 신규 고용 창출 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