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포럼] “수소에너지 경제성 높이려면 전기 → 수소 치환기술 개발 필요”

입력 2022-01-26 04:02
국민일보와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공동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25일 열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경제의 역할’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김진우 건국대 교수, 이철용 부산대 교수, 이한우 한국에너지공단 수소경제추진단장, 정태호 의원, 변재운 국민일보 사장, 양병내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 소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PD, 권혁수 에너지산업진흥원 이사장. 최종학 선임기자

‘궁극의 친환경 에너지’로 평가받는 수소 에너지가 지닌 난제는 경제성이다. 현재로선 정부 지원 없이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기술 개발을 손 놓고 있을 수도 없다. 재생에너지를 대폭 늘려가겠다고 공언한 한국 정부의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수소가 필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한 때 경제성이 없다며 천대받았던 태양광이나 전기차가 주류로 급부상한 전례를 참조해 수소 기술 개발에 도전적으로 매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25일 국민일보-정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공동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수소경제의 역할’ 포럼 첫 발제자로 나선 이철용 부산대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로선 수소의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고 봤다. 이 교수는 수소가 연료인 수소 발전소 경제성을 분석해봤더니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0.47로 나왔다고 발표했다. B/C는 1보다 높으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낮으면 낮을수록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하는 지표다.

경제성이 낮게 나온 주된 이유는 연료인 수소 가격 때문이다. 이 교수의 분석대로라면 2035년 기준 ㎏ 당 3000원인 수소 가격을 1800원까지 떨어뜨려야만 경제성이 확보된다. 이 교수는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정부가 1200원을 보조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식적으로 본다면 수소 에너지의 상용화는 멀어 보인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다. 두 번째 발제자인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장 큰 이유로 ‘안보’를 꼽았다.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운을 뗀 이 연구위원은 제주도 사례를 들었다. 2020년 기준 제주도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16.2%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으로 충당한다. 이렇게 재생에너지를 많이 늘렸더니 버려지는 전기가 많아지는 폐해가 발생했다. 전력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봄·가을 낮 시간대에 태양광 발전 공급량이 수요를 초과한 점이 문제로 꼽혔다.

이 남는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자는 것이다. 치환한 에너지는 수소차나 수소발전 연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향후 재생에너지를 더 늘려가게 되는 상황을 고려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미래 먹거리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교수는 “수소경제 추진은 신규 고용 창출 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