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욱 “기후에너지부? 에너지·탄소중립 이슈 산업과 연계해야”

입력 2022-01-26 04:07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 장관은 "정부가 정한 에너지 전환 대책의 기본 방향은 현재보다 원전을 늘리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차기 정부의 ‘기후에너지부’ 신설 가능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내비쳤다. 에너지, 탄소중립 이슈는 산업과 같이 연결돼 추진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산업부의 에너지 조직을 떼어내 환경부와 합쳐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문 장관은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실제로 다른 나라들도 (에너지·탄소중립이 한 부처에 있는) 그런 식의 정책을 해나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탄소중립) 역시 글로벌 이슈이기 때문에 (해외 정부와) 같이 협업하는 쪽으로 진행될 수 있는 정부 조직이 차기 정부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저희가 하는 정책들이 앞으로 장기적으로 이어져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재의 산업부가 열심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차기 대선주자들이 현 정부에서 중단된 신한울 3·4호기 공사 재개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서는 “현재 국내에 24기의 원전이 가동 중인데, 많은 수의 원전이 특정 지역에 몰린 점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다”며 “사용후 핵연료 처리 문제가 구체적으로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원전 확대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현 정부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인 K-택소노미에 원전이 빠져 수출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에 대해선 “큰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원전 수출 시 금융지원을 담당하는 수출입은행이 K-택소노미가 아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을 따르므로 적절한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유럽연합(EU)이 녹색 분류체계에 원전을 포함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EU 내에서도 찬반 입장이 반반으로 갈려서 논쟁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4~6개월의 시한을 두고 계속 협의를 거쳐서 갈 부분이기 때문에 좀 더 지켜보겠다”고 답했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