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인 교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비상연락망을 점검하는 한편 사태 악화로 교민을 이송해야 하는 상황까지 대비하고 있다.
24일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은 약 800명이다. 외교부는 유사시 이들과 긴밀히 연락할 수 있도록 한인회, 유학생회, 선교사회 등 현지 단체들을 통해 비상연락망을 구축해 놓은 상태다. 외교부 당국자는 “공관에서 모르는 체류자가 더 있을 수 있어 주요 단체장들과 소통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국경지대에 거주하는 우리 교민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접경지인 동부 돈바스(도네츠크·루간스크)와 크림 지역은 2014년부터 여행경보 3단계(출국 권고)가 발령된 상태다.
정부는 아프가니스탄 미군 철수 때처럼 교민을 국내로 이송해야 하는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 공항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육로를 통해 인근 유럽 국가로 이동할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우크라이나 주재 한국대사관도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 중이다. 다만 미국은 전날 자국 대사관 직원과 가족들에게 철수 명령을 내렸고,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미국 교민에게는 출국을 권고했다.
교민 이송을 검토할 단계는 아니지만, 우리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최악의 상황까지 상정해 교민 안전을 확보할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우방국 현지 대사관과 주요 상황에 대해 수시로 협의하는 한편 대피 상황 발생 시 항공자산 협조 등도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각급 외교채널 간 소통도 진행되고 있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지난 19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관련 상황을 심도 있게 협의했다. 앞서 15일에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전화 통화를 갖고 우크라이나 등 주요 지역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