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퀸스에 명판사로 이름을 날리던 판사가 있었다. 1930년 어느 날 한 노인이 절도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그 노인은 상점에서 빵 한 덩이를 훔친 혐의로 기소됐다.
판사가 그 노인에게 물었다. “전에도 빵을 훔친 적이 있습니까.” “아닙니다. 처음입니다.” “왜 그런 일을 했습니까.” “죄송합니다, 판사님. 저는 그동안 성실하게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나이가 많아 직장을 잃은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해 사흘을 굶다가 너무 배가 고파 저도 모르게 이런 일을 저지르고 말았습니다.”
판사는 잠시 후 판결을 내렸다. “아무리 사정이 딱해도 남의 것을 훔치는 것은 절도 행위입니다. 법은 만민에게 평등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 노인에게 벌금형 10달러를 선고하는 바입니다.”
판사의 용서를 기대했던 법정은 술렁거렸다. 그러자 판사가 말을 이어갔다. “그러나 이 노인의 절도행위는 이 노인만의 잘못이 아닌, 이 도시에 사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판결을 맡은 저 자신에게도 10달러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그리고 여기 있는 우리 모두도 가능하다면 50센트씩 십시일반으로 이 벌금형에 동참해주시기 바랍니다.”
판사의 판결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판사는 자기 앞에 놓인 모자에 10달러를 넣은 다음 그 모자를 방청석으로 돌렸다. 잠시 후 판사는 거두어들인 돈에서 노인의 벌금 10달러를 빼고 남은 돈 47달러 50센트를 노인의 손에 쥐여줬다.
“이제부터 힘을 내서 정직하고 용기 있게 사십시오.” 법정을 떠나는 노인의 눈에서는 굵은 눈물이 계속 흘러내렸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모든 사람은 깊은 감동에 잠겼다.
오랫동안 명판사로 이름을 날렸던 피오렐로 라과디아는 나중에 뉴욕의 훌륭한 시장이 되어서 수많은 감동적인 일을 남겼다. 뉴욕 퀸스에 라과디아 공항이 있다. 너무나 훌륭하고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았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서 공항 이름을 만든 것이다.
“이로써 그리스도를 섬기는 자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며 사람에게도 칭찬을 받느니라 그러므로 우리가 화평의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을 힘쓰나니.”(롬 14:18~19)
우리 크리스천은 보잘것없는 나를 죄에서 구원해주신 예수님의 은혜에 감사하고 사랑해서 예수님의 계명을 따르려고 노력한다. 선하고 착한 행실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살기를 원한다.
어느 날 교회 다닌다고 갑자기 예수님 같은 성인이 되거나 갑자기 말과 행동과 인격이 달라지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죄인이었던 본성이 하루아침에 없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예수님을 내 구세주와 주인과 왕으로 영접하고 예수님의 마음을 품고 주님을 닮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기도하고 헌신하고 순종한다. 계속 훈련해서 예수님의 계명을 지키며 하나님 뜻대로 살도록 노력하며 성령님의 도우심을 구해야 한다.
“바나바는 착한 사람이요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라 이에 큰 무리가 주께 더하여지더라.”(행 11:24) 믿음 좋고 성령 충만한 것이 중요하지만 착한 성품과 행실로 사람들과의 관계가 좋아질 때 바나바를 보고 큰 무리가 주님께 돌아온 것처럼 아름다운 영향력이 생기는 것이다.
바울은 아무도 믿지 않고 인정해주지도 않았다. 하지만 바나바가 사도들과 함께 있을 수 있도록 중간 역할을 하고 보증을 섰다. 바나바는 사도 바울의 위대한 가능성을 인정해주고 세워주었다.
요즘 진정 필요한 것은 바나바와 같은 사람이다. 있는 자리에서 작은 것에 충실하고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사람, 착하고 다른 사람을 믿고 인정해주며 세워주는 사람, 말만 앞세우는 종교인이 아니라 삶에서 사랑을 실천하는 진정한 신앙인이 필요하다.
(미국 애틀랜타 새한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