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韓 경기선행지수 5개월째 하락”… 성장률 위험 신호

입력 2022-01-21 04:02

연초부터 한국 경제에 암운이 드리우고 있다. 물가가 뛰는 와중에 재정·통화 정책의 엇박자 논란은 계속되고, 오미크론의 확산세는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작성하는 한국 경기선행지수(CLI)는 5개월 연속 전월 대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현 상황을 엄중하게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OECD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우리나라 경기선행지수는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101.2를 기록했다. 경기선행지수는 2020년 5월(98.5)부터 지난해 7월(101.7)까지 15개월 연속 상승하다가 지난해 8월(101.6) 하락 전환한 뒤 5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다.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의 경기 흐름을 가늠하는 데 쓰이는 지표로, 내림세를 보이는 것은 앞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의미다. 경기선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향후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장기 추세를 웃돌 것으로, 100보다 낮으면 장기 추세를 밑돌 것으로 예측한다.

홍 부총리는 이날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우리나라 경제의 제약조건으로 ‘방역·대외변수·재정’ 등을 꼽으며 “연초부터 엄중함과 긴장감을 갖고 폴리시 믹스(Policy mix·정책 조합)상 경제정책의 정교함과 정합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물류 파업 등 흉흉한 노사 관계도 우리 경제에는 부담이다. 홍 부총리는 “올해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 근로시간 면제제도(타임오프제) 논의 등 주요 노동정책 이슈가 복합적으로 제기되는 데다 코로나19 산업전환 및 이에 따른 고용문제, 플랫폼 등 새 갈등 이슈가 부각될 소지가 있다”며 “노조 요구, 경영계 입장 등 다양한 의견의 균형감 있는 조율이 매우 중요한 만큼 ‘체계적 대응지원체계’를 구축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초부터 각종 악재가 겹치며 정부 성장률 전망에도 수정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3.1%로 보고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의 전망은 낙관적이고 현실적인 경제성장률은 2% 중반으로 본다”며 “다만 향후 대규모 재정 투입 등에 따라 성장률이 일부 높아질 가능성도 남아 있다”고 말했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