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MS)가 유명 게임업체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한다. 순식간에 글로벌 게임업계 3위 자리에 오른 MS는 메타버스를 겨냥하고 있다. 4억명 이상이 이용하는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게임을 통해 메타버스 확장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포석이다.
MS는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687억 달러(약 81조8700억원)에 인수키로 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인수 가격은 주당 95달러로 전액 현금으로 지불한다. CNBC방송에 따르면 이번 거래는 정보통신(IT)산업 역사상 최고액 인수·합병(M&A)이다. 종전 기록은 2016년 델의 데이터 스토리지업체 EMC 인수(670억 달러)였다. 또한 이번 거래는 MS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M&A이기도 하다. MS가 2016년에 260억 달러를 투자해 링크드인을 인수한 게 기존 최고액 M&A였다.
MS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는 규제기관 승인 등을 거쳐 약 18개월 뒤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인수를 끝내면 MS는 텐센트, 소니에 이어 전 세계 3위 게임업체에 등극하게 된다. 액티비전 블리자드는 ‘콜 오브 듀티’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 ‘오버워치’ 등의 게임 콘텐츠를 보유한 업체다. 세계 190개 나라에서 매월 4억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우선 MS는 자사의 ‘엑스박스 게임 패스’에 액티비전 블리자드 게임을 출시해 게임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
MS는 이번 인수의 진짜 목적이 ‘메타버스 시대’ 대비라고 선언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게임은 모든 플랫폼을 통틀어 가장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영역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의 확장에서도 게임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MS 엑스박스 스튜디오 필 스펜서 대표도 “메타버스가 무엇이든 간에 게임이 그 주류를 만드는 데 최전선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메타버스 플랫폼은 어느 방향으로 발전할지 명확하지 않다. 다만 게임 콘텐츠를 중심으로 영역, 이용자, 생태계를 확대하고 구축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버스 전환을 시도하고 있지만 게임은 가장 빠르게 자리잡고 있는 영역 중 하나다. 뉴욕타임스(NYT)는 “게임에는 어느 정도 메타버스가 존재한다”면서 에픽의 ‘포트나이트’를 예로 들었다. 포트나이트 게임 플레이어는 개인 아바타로 게임에서 수백 시간을 보낸다. 다른 플레이어와 아바타로 싸우고 상호작용을 한다. 이용자들은 아바타를 꾸미는 데 돈을 지출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빅테크 기업에 과도한 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인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는다. 미국은 물론 유럽연합(EU)에서 최근 빅테크 기업의 반독점 문제를 까다롭게 보고 있기 때문이다. MS는 PC운영체제 시장을 독점하고 있고 클라우드에서도 시장 장악력을 갖추고 있는 기업이다. 여기에 강력한 게임 콘텐츠 경쟁력까지 보유하게 되면 또 다른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