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섬유·패션 연구기관인 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하 패션연)의 운영 중단 위기 사태가 해를 넘겨서도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패션연 직원들은 대구시가 패션연 정상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패션연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대구시 등이 2010년 설립했다. 산업부 산하 연구기관으로 시작한 패션연은 설립 이후 2017년까지 정부와 대구시로부터 연간 4억7000여만원의 운영비를 지원 받았다. 하지만 2018년부터 국비보조금 일몰제가 적용돼 운영비 지원이 끊겼고 패션디자인개발지원센터(옛 한국패션센터) 운영권까지 박탈당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 사업 수주도 급감했다.
패션연은 인력 감축, 임금 삭감 등 구조조정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세금 미납 문제로 단전, 통장 압류조치 통보까지 받았다. 패션연 건물이 경매로 넘어갈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다. 패션연은 지자체 보조금 사업 비중이 크고 영세 소기업이 대다수인 패션·봉제업체 지원이 주요 업무라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다. 갈등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말 패션연 이사장과 이사 2명이 집단 사퇴해 현재 당연직 이사 3명과 선출직 이사 3명만 남은 상황이다. 올해도 주거래은행인 대구은행 통장 압류조치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패션연 노조와 노동단체,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사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최근 성명을 내고 당연직 이사들이 회의에 참석하지 않아 상황이 더 어렵게 흘러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구시 당연직 이사가 회의에 참석하지 않으면 성원이 될 수 없음을 알면서도 대구시의 이사회 참석 거부로 중요한 사안을 심의하지 못해 통장압류조치 단초를 제공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18일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원장 선임 등 기관 정상화를 위해 패션연 이사회에 참석하고 의견도 냈는데 노조 측이 부당개입 의혹을 제기했다”며 “이 때문에 회의에 참석한 공무원들이 경찰 조사를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고 회의에 참석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