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작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4.0%로 집계됐다고 중국 국가통계국이 17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이 한창이던 2020년 2분기 이후 1년 반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중국의 경제 성장 동력이 급속히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의 작년 분기 성장률은 기저효과에 힘입어 1분기 18.3%까지 올랐다가 2분기 7.9%, 3분기 4.9%, 4분기 4.0% 등으로 뚜렷한 경기 둔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왜곡 효과를 걷어내기 위해서는 팬데믹 충격으로 성장률이 급락한 2020년과 기저효과 덕에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높게 나온 2021년 결과를 평균 내 보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고 본다. 이날 발표된 2020∼2021년 연평균 성장률은 5.1%였다.
결국 중국의 성장률이 코로나19 직전 해인 2019년 6.0%에서 2020년과 2021년 각각 5.1% 수준으로 내려가는 추세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성장률은 2011년 9.6%, 2012년 7.9%, 2013년 7.8%, 2014년 7.4%, 2015년 7.0%, 2016년 6.8%, 2017년 6.9%, 2018년 6.7% 등으로 계속 내려가고 있다.
중국의 경제 성장 동력이 약해지는 가장 큰 이유는 헝다 사태로 대표되는 부동산과 빅테크,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고강도 규제를 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급등과 공급망 병목 현상 같은 외부 변수까지 생겼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가 중국의 거시경제와 금융 안정의 가장 큰 위협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도 내수 소비와 고용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중국은 지난해 말 코로나19가 확산한 인구 1300만명인 도시 시안을 전면 봉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전략은 산업 생산에는 도움이 되지만 소비, 특히 요식업과 여행업에 큰 고통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경기 급랭 추세가 이어지면서 중국 당국은 경기 안정화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달 지급준비율과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한 차례씩 내렸다. 또 이날 경제 지표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예상을 깨고 정책 금리인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0.10% 포인트 인하하면서 오는 20일 LPR 추가 인하를 예고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中, 작년 4분기 GDP 증가율 4.0%… 성장 급속 약화
입력 2022-01-18 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