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해저터널에 이어 지역 산업·관광 활성화의 또 다른 중추가 될 제2서해대교의 최적 노선과 건설 방식이 해저터널로 도출됐다.
충남도는 제2서해대교 건설 사전 타당성조사 용역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용역은 당진 석문국가산단~화성 궁평항 18.9㎞(1안), 당진 성구미포구~화성 봉화교차로 16.2㎞(2안), 당진 안섬포구~화성 남양호 8.4㎞(3안), 당진 한진포구~서평택IC 사거리 10.6㎞(4안) 등의 노선에 각각 해상교량과 해저터널을 건설했을 때의 경우를 비교 검토했다.
해양수산청과 해양경찰청, 군부대 등 관계기관과 도 자문위원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3안의 해저터널 방식이 경제성 교통성 시공성 안전성 등에서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평택당진항 내 대형선박의 잦은 입출항과 해군의 군사작전 수행, 교량으로 건설했을 경우 기상악화 발생 시 서해대교와 동시에 통제받을 수 있는 상황 등을 감안했다.
당진 안섬포구~화성 남양호 노선은 총연장 8.4㎞ 중 7.48㎞는 해저터널로, 나머지는 접속도로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당진 송악 고대리~화성 우정 이화리까지 이동 거리는 46.4㎞에서 8.4㎞로 단축된다. 서해대교 통제 시 우회 경로로 이용되는 서평택IC~송악IC의 거리는 35.5㎞에서 25.2㎞로 줄고, 이동시간은 45분에서 20분으로 절반 이상 줄어든다.
서해대교 통행량은 2050년 기준 1일 평균 9만8420대에서 8만5325대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비는 4개 노선 중 가장 적은 7458억원이 소요되고, 1일 통행 예상 차량은 2만9436대로 가장 많았다.
제2서해대교는 서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국도 77호선 거리 단축과 도로 연계성 향상, 충남 서북부지역 산업단지 물류비 절감 및 신규 산업단지 유치 등을 위해 건립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또 상습 정체와 자연재해, 교통사고 등에 취약한 서해안고속도로 서해대교의 우회도로 건설 요구도 끊이지 않았다. 2000년 11월 개통한 서해대교 1일 평균 통행량은 8만9329대로 이미 포화상태에 달했다. 강풍·낙뢰 등의 자연재해, 대규모 교통사고 등이 발생하면 차량을 전면 통제해야 한다. 2006년 10월 29중 추돌사고 발생으로 1일을, 2015년 12월 교량 케이블 화재 발생으로 16일을 각각 통제했다.
충남도 관계자는 “사업을 본격 추진하려면 오랜 기간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220만 도민의 역량이 결집되면 조속한 시일 내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