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캘리포니아주 보건 당국이 최근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지만 증상이 경미한 의료진의 현장근무를 허용했다. 오미크론 변이에 의한 확진자 증가가 워낙 가팔라 의료진 수요가 치솟는데, 감염 의료진도 덩달아 늘어 병원들이 심각한 인력난을 호소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 보건부는 “의료진 부족이 심각해 취한 조치”라며 “코로나19에 감염된 직원은 N95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고, 코로나19 양성 환자 치료에 배정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간호사협회는 “우리도 환자를 돌보고 싶다. 이런 결정은 더 많은 감염을 초래할 것”이라며 “환자와 근로자 안전보다 의료기업의 필요를 우선시하는 정책”이라고 즉각 반발했다. 미국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의한 ‘환자 증가’와 ‘의료 인력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ABC뉴스는 “코로나19에 감염된 간호사 등 근로자가 증상이 경미하면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이례적 조치를 허용하는 병원이 미 전역에서 점점 더 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폴리티코도 “병원과 장기요양시설은 직원이 너무 부족해 코로나19 양성 의사와 간호사의 직장 복귀를 강요하고 있다”며 “무증상 또는 증상이 있는 직원을 복귀시키는 것이 입원환자 급증 상황에서 시설을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고 보도했다.
실제 미국에서 환자 증가와 의료인력 감소 비대칭은 여러 지역의 의료시스템 마비를 우려할 만큼 심각하다. 로이터통신 집계에 의하면 코로나19 환자는 이날 13만2646명으로 이전 최대치(지난해 1월 13만2051명) 기록을 갈아 치웠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된 의료 종사자는 최소 83만8729명, 사망 의료진은 3265명에 달한다. 최근 한 달간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의료 인력만 최소 7385명이다.
인력 부족으로 한계상황을 호소하는 병원은 최근 크게 증가했다. 미 보건부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병원의 4분의 1가량이 ‘심각한 인력 부족’ 상황을 당국에 보고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