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보다 ‘선택과 집중’… K방역 새판짜기

입력 2022-01-11 04:02
지난 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이 검체 채취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이번 설연휴를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 분수령으로 꼽은 정부가 조만간 관련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한정된 진단검사와 역학조사 역량을 고위험군 및 감염·전파에 취약한 계층에 집중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K방역의 근간인 ‘3T’(검사·추적·치료) 전략이 전파력 강한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하기 위한 속도전 체제로 전환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국내에서도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는 것은 결국 시간문제일 것”이라며 선제적 대비를 강조했다. 또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 확대와 단계적인 4차 접종도 조속히 결론 내려 줄 것을 주문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설연휴가 (오미크론 우세종화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라며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밝혔다. 일상회복지원위원회 전체 회의를 거쳐 이번 주 중으로 대응 전략을 확정하고 추후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자리 잡으면 방역·의료 체계를 즉시 전환하겠다고도 덧붙였다.

대응 전략의 방점은 ‘선택과 집중’에 찍혔다. 진단검사 측면에선 일 75만건 수준인 유전자 증폭(PCR) 검사 역량을 85만건으로 확대하고 고령자, 기저질환자, 밀접접촉자, 요양시설 근무자 등을 우선 검사할 계획이다. 신속항원검사(자가검체) 사용 확대도 검토한다. 역학조사 또한 위험도 기반 우선순위에 따라 이뤄질 것이 유력하다.

3T 중 갈 길이 가장 먼 요소는 치료다. 외래 진료가 여전히 보편화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8일 기준으로 운영이 시작된 외래진료센터는 전국 38곳에 불과했다. 개시를 준비하고 있거나 협의 중인 곳까지 합쳐도 79곳에 그쳤다. 운영을 맡은 의료기관 종별로는 종합병원이 61곳, 병원이 16곳, 보건소가 2곳이었다. 의원은 한 곳도 없었다.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는 급격한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에 발맞춰 현행 치료 체계를 의원급 의료기관으로 확장하고 재택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항원검사를 확대해도 PCR로 확정 검사를 해야 하기에 의료 체계의 부담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며 “의료 체계 개편 없인 (대응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전략 전환의 적기를 포착하는 것도 관건이다. 자칫 실익 없이 유행 확산만 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료계에선 특히 신속항원검사는 위음성(가짜 음성) 가능성을 고려할 때 하루에 수만명씩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이라야 도입할 만하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신규 국내 발생 사례 중 오미크론 변이의 비중은 지난 2~8일 12.5%로 집계됐다. 전주 대비 3배 이상으로 늘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