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유행에 대비해 코로나19 치료 체계를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정부도 관련 작업에 착수했다. 국가 주도 입원 중심 치료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차원의 외래 진료로 큰 틀을 바꾼다는 구상이지만 선결 과제도 적지 않다.
9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보건복지부는 의원급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진료 참여 관련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수렴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 형태나 규모, 방식 등은 아직 논의되는 중이다. 정부가 관리하는 기존 외래진료센터와는 별개로 코로나19 입원 환자를 봐 온 일부 전담병원에 해당 지역 신규 확진자의 외래 초진을 맡기는 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움직임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 잡는다면 확진자가 지금의 3~4배 이상으로 급증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됐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민간에 명령·요청해 병상을 확보하는 현 체계론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우려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달 27일~이달 1일 전 세계 신규 확진자는 952만명으로 전주 대비 71% 폭증했다.
다만 하루아침에 병의원에서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으로 이어지는 의료전달체계를 정상화할 순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반 상가에 입주해 환자 여럿이 개방된 공간에서 대기하는 등 1차 의료기관의 환경이 감염 관리에 불리하다는 취지다. 의료진·환자·병원의 불안감도 크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재택치료가 1년간의 시범사업을 거쳤듯 대면 외래도 ‘지금 가능한 방식’부터 시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는 의원급 의료기관 참여 확대와 관련해 “자문을 토대로 (내부안의) 틀이 완성되면 의료계와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유행 상황은 점진적인 안정세를 이어갔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821명으로 나흘째 800명대를 유지했다.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전국 47.5%, 수도권 50.6%까지 낮아졌다. 이달 2~8일 하루 평균 확진자도 3682명으로 집계돼 전주 4745명보다 1000명 이상 줄었다.
단 오미크론 변이의 세계적 유행으로 해외 유입 확진자는 증가세를 보였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3376명 중 7%가량인 236명이 해외 유입 사례로 파악됐다. 이는 선상 집단감염을 겪은 해군 청해부대원들이 대거 집계에 반영된 지난해 7월 22일(309명)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