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새해 첫 금통위… 금리 또 올릴까, 다음으로 미룰까

입력 2022-01-10 04:05

한국은행이 오는 14일 열리는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올릴지 금융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8월에 이어 11월 선제적으로 0.25% 포인트 인상을 통해 1.0%로 제로금리를 탈출했지만 미국 중앙은행의 급진적 ‘매파’로의 변신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 대내외 여건상 추가 인상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해 11월 금리 인상 후 기자회견에서 현 금리 운용수준에 대해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하며 1월 중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최근 신년사에서도 “새해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춰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한다”며 다시 한번 추가 인상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은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지난해 10월(3.2%) 3%대로 올라선 소비자물가가 11월(3.8%)과 12월(3.7%) 연속 3%대 후반으로 상승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11월 통화정책방향 회의 발언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서 실질 기준금리 수준이 올해(2021년) 봄보다 오히려 더 낮아진 상황인 만큼 완화 정도 조정의 필요성은 더 강해졌다”고 진단했다. 최근 수출호조세에 불구하고 무역수지가 적자로 돌아선 이유가 수입물가라는 고비용 측면 때문인 점도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이 급박해졌다는 신호로 읽혀진다.

지난주 12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드러난 것처럼 미국의 기준금리 3월 인상 착수 가능성이 커지는 것도 한은의 조바심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현재 0.75~1.0% 포인트인 양국의 기준금리차가 빨리 좁혀질수록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 달러 강세에 따른 충격이 세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선을 넘어선 것도 이런 우려를 반영한다.

다만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최근 급격한 매파적 스탠스 표명이 기대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뒤늦은 대응으로 자칫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따라서 한은이 섣불리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 행동에 나서기보다는 최근 급등한 미국 국채 금리 동향과 경기상황 등을 좀 더 살핀 뒤 다음 달 인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지난해 11월 말부터 돌출된 오미크론 변이 여파로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점도 1월 인상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 입장에서 보면 미국 금리 인상이 일러야 3월이므로 2월에 인상해도 양국 간 금리차로 보면 아직 선제효과는 유효한 상황이다.

이동훈 금융전문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