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고취된 폭도들이 의회를 공격한 것은 미국 정치에 불길한 선례가 됐다. 국가 분열을 심화시켰고, 앞으로 몇 년 동안 전 세계에 반향을 일으킬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프랜시스 후쿠야마 스탠퍼드대 교수)
지난해 1월 6일 의사당 난동 사건 1년을 맞으면서 미국의 위기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내란 수준의 갈등으로 불릴 만큼 국론이 분열됐고, 주류 사회마저 당파적 극단주의를 향해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다는 내용으로 집약된다.
미 연방의회 경찰서장 토마스 맨거는 5일(현지시간) 상원 청문회에서 “지난해 연방 의원에 대한 위협이 9600건 접수됐다”고 말했다. 하루 26건꼴이다. 2017년에는 4000건 정도였는데, 지난해에는 그 두 배를 넘어선 것이다.
메릭 갈런드 미 법무부 장관은 이날 의회 폭동 1주년 연설에서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민주주의 작동을 도운 사람들이 위협과 폭력의 표적이 돼 온 것을 우리는 목격해 왔다”며 “선출된 공직자와 교사, 기자, 교사, 공무원, 판사, 경찰관들이 살해 위협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어 “폭력 행위와 위협이 국민 생활에 스며들어 일상화 될 위험이 있다”며 “민주주의에도 매우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미국 극단주의 연구자 신시아 밀러-아이드리스 교수는 뉴욕타임스(NYT) 기고에서 “오늘날 미국인의 안전과 안보에 가장 시급한 위협은 외국의 테러리스트가 아니라 자국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이 같은 위협이 사회의 주류 세력에게서 왔다는 점이 치명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1월 6일 공격자 중 대다수가 평균 연령 40대의 직장인이었다”며 비주류의 외로운 늑대(lone wolf) 형 테러와는 성격이 달랐다고 전했다.
후쿠야마 교수는 양극화에 따른 민주주의 쇠퇴를 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기고문에서 “세계화와 경제 변화로 많은 사람이 뒤처졌다. 도시에 거주하는 고학력 전문가와 전통적 가치를 지닌 작은 마을 거주자 사이에 커다란 문화적 격차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또 “정치는 점점 양극화되고, 교착상태에 빠져 예산 통과 같은 기본적 정부 기능조차 수행하지 못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후쿠야마 교수는 “폭동은 미국인 상당수가 민주주의 자체에 반대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글로벌 영향력이 크게 감소했음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의회 폭동 1년 대국민 연설에서 ‘혼란과 대학살’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트럼프 전 대통령 책임론을 직접 제기할 방침이다. “정치적 폭력을 규범으로 받아들이는 나라, 진리의 빛이 아닌 거짓의 그늘에 사는 나라가 되겠느냐. 우리는 그런 나라를 허락할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