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지폐 가운데 최고액권인 5만원권은 다른 선진국의 고액권에 비해 유통수명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은행의 2021년 은행권 유통수명 추정 결과에 따르면 5만원권의 유통수명은 178개월(14년10개월)로 나타났다. 전년에 비해 4개월 늘어났고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로 계산해 보면 1년 4개월이나 증가했다. 1만원권은 131개월로 전년대비 1개월 늘었고, 5000원권은 63개월로 3개월 증가했다. 1000원권은 61개월로 1개월이 늘어났다.
화폐 유통수명은 신권이 발행된 후 유통되다가 더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손상돼 한은으로 돌아와 폐기될 때까지 걸린 기간을 말한다.
하지만 5만원권의 경우 미국의 100달러 지폐(275개월), 영국의 50파운드 지폐(492개월), 호주의 100달러 지폐(330개월), 스위스의 100프랑 지폐(240개월) 등에 비해 훨씬 짧다. 5만원권이 이들 국가의 최고액면 지폐에 비해 구매력이 낮은데다 실제거래에도 상대적으로 널리 사용되면서 사람들 손을 많이 타기 때문이라는게 한은의 설명이다.
이에 비해 1000원권과 5000원권 등 저액권은 5만원권보다는 수명이 짧지만 내구성이 좋은데다 국민들의 올바른 사용 습관 덕에 다른 주요국에 비해서는 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동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