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 특혜·로비 의혹 규명을 위해 꾸려진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6일로 출범 100일째를 맞는다. 검사 25명으로 웬만한 지청보다 큰 규모의 수사팀은 4개월여간 대대적인 수사를 벌여왔음에도 그간의 성과를 두고선 검찰 안팎의 평가가 우호적이지 않은 편이다.
막대한 개발 이익을 얻은 민간 사업자와 전직 성남도시개발공사 간부 등 5명은 재판에 넘겨졌지만, 풀리지 않은 의혹은 산적해 있다. 대선 후보가 연관돼 있어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을 수사팀이 지나치게 의식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여전히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사건 중에는 특혜 의혹 ‘윗선’으로 가는 길목인 황무성 초대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 사퇴 압박 건이 있다. 이 사건은 사임 종용 정황이 담긴 녹취에 등장하는 유한기 전 공사 개발본부장의 극단적 선택 이후 진척이 어려운 상황이다. 녹취에 나오는 ‘정 실장’으로 지목된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은 직권남용 등 혐의로 고발됐는데, 공소시효가 다음 달 만료돼 신속한 수사가 필요하다. 검찰은 조만간 정 부실장을 불러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로비 의혹과 관련된 이른바 ‘50억 클럽’ 수사도 검찰의 숙제다. 수사팀은 5일 50억 클럽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박영수 전 특검을 다시 소환했다. 지난해 11월 26일 첫 조사 이후 한 달여 만이다. ‘아들 퇴직금 50억원’ 의혹을 받는 곽상도 전 의원은 수사팀이 1차 구속영장 기각 이후 그의 신병 처리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검찰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에 유리한 판결을 내린 이로 지목된 권순일 전 대법관도 한 차례 불러 조사했지만 ‘재판 거래’ 의혹은 당시 대법관 전원을 수사해야 해 입증이 쉽지 않다.
최근 유동규(구속 기소) 전 공사 기획본부장과 통화한 것으로 알려진 인사들도 거론되는 가운데 이 후보 측근으로 분류되는 이들도 포함돼 주목받고 있다. 정 부실장과 김용 민주당 선대위 조직부본부장 등이다.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박관천 전 청와대 행정관도 통화 기록에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대장동 의혹과의 연관성을 부인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제기된 의혹들은 필요 시 수사팀에서 모두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사 과정에서 발생한 공사 전현직 간부 2명의 극단적 선택은 수사팀을 위축시켰을 것이라는 평이 제기된다. 수사팀의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수사 동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됐다는 이야기도 꾸준히 나온다. 한 간부급 검사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수사라는 점을 수사팀이 지나치게 고려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평가했다.
배임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유 전 본부장,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 남욱·정민용 변호사, 불구속 기소된 정영학 회계사의 첫 공판은 오는 10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다. 검찰에 녹취록을 제공해 수사에 도움을 준 정 회계사는 앞선 공판준비기일에서 공소 사실을 인정했지만, 나머지는 혐의를 부인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