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트렌드는 ‘블루 이코노미’… 포스트 코로나 대안 부상

입력 2022-01-05 04:07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구글 트렌드’의 경제 관련 키워드로 다소 생소한 단어인 ‘블루 이코노미(Blue Economy)’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블루 이코노미는 한국에선 녹색성장으로도 알려진 ‘그린 이코노미(Green Economy)’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이다.

4일 구글 트렌드에서 전 세계와 지난 12개월을 기준으로 삼아 경제(economy)를 검색해보면 다양한 ‘관련 주제’가 나열된다. 이 중 유독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관련 주제가 있다. 블루 이코노미와 그린 이코노미다.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두 키워드를 비교해보면 북미나 유럽 등에서는 그린 이코노미보다 블루 이코노미 검색량이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된다. 선진국일수록 블루 이코노미에 더 많은 눈길을 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블루 이코노미는 벨기에 환경운동가 군터 파울리가 2010년 발간한 저서 ‘블루 이코노미: 10년, 100가지 혁신, 1억개 일자리’를 통해 처음 소개한 개념이다. 요약하자면 기업이 자연에서 배운 새로운 친환경 기술로 생산·소비 체계를 혁신하고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경제를 말한다. 인체 부작용이 없는 거미줄 모방 의료용 실처럼 자연에서 배우는 생체모방기술이나 해조류에서 추출하는 에너지 등이 블루 이코노미의 사례로 꼽힌다.

자연에서 따온 기술만이 전부가 아니다. 저탄소 사회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그린 이코노미와도 궤가 비슷하다. 다만 인식 차이가 있는 편이다. 그린 이코노미는 환경에 유해한 석탄화력발전 등 화석연료를 없애고 재생에너지를 보급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반면 블루 이코노미는 탄소를 100%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있다면 시설 유지도 무방하다고 진단한다.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면서 새로운 부를 창출해낸 점을 더 높게 산다.

지속가능성이 높다 보니 ‘포스트 코로나’ 대안 경제로서 강점이 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기후변화협약을 탈퇴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례나 탈석탄에 제동을 건 중국·인도 사례에서 보듯 그린 이코노미는 정치에 취약하다. 군터 파울리는 그린 이코노미가 또 다른 세계적 과제인 실업·기아 해결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이 혁신적인 친환경 기술로 시장 질서를 바꿔 성장하는 형태인 블루 이코노미는 이 두 가지 문제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이창훈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그린 이코노미는 정부의 적극적 개입과 국민 지지가 필요한데 경제 악화로 국민 지지가 약해지고 정부가 규제 완화 등을 하게 되면 선순환하기 힘들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