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장고 끝 결론은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과의 결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는 기존 선대위를 완전히 해체하는 쪽으로 결심을 굳힌 것으로 4일 알려졌다.
최소 규모의 슬림화된 선대위로 대선을 치르겠다는 의도다. 이런 방식을 통해 김종인 위원장은 선대위에서 물러나는 수순을 밟게 된다. 윤 후보는 서울 서초구 자택에 머무르면서 이 같은 쇄신안을 사실상 확정했다.
윤 후보는 정치 참여를 선언했던 때의 초심으로 돌아가 국민만 바라보고 대선을 치르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인 위원장의 도움에서 벗어나 ‘홀로서기’를 선택한 것이다.
윤 후보는 선대위를 직할 체제의 실무형 조직으로 재구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적인 선대본부 기능만 남겨 놓고, 기존 선대위의 실·본부장급 현역 의원과 당직자들은 전국 각지로 하방시키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와 함께 윤 후보의 최측근인 권성동 의원은 사무총장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전해졌다. 윤 후보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윤 후보는 김 위원장이 지난 3일 자신의 동의 없이 선대위 전면 쇄신을 발표한 이후 공식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이날까지 이틀째 잠행을 이어갔다.
윤 후보는 김 위원장이 선대위 전면 쇄신을 발표한 ‘단독 플레이’에 강한 불쾌감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윤 후보 측은 김 위원장이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윤 후보에게) 우리가 해준 대로만 연기를 좀 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하는 바람에 더불어민주당에게 ‘아바타’ ‘꼭두각시’ 등 윤 후보를 공격하는 빌미를 제공했다며 부글부글 끓는 분위기였다.
윤 후보와 가까운 한 의원은 “윤 후보의 동의 없이 선대위 쇄신을 발표한 김 위원장의 처사는 ‘상왕의 월권’, ‘후보 패싱’이 아니냐”면서 “김 위원장이 윤 후보를 무시하는 듯한 발언을 연이어 내놓은 것도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른 의원은 “지금 선대위 내부에서 ‘누가 대선 후보냐’라는 말이 돌고 있다”면서 “김 위원장의 행동이 도를 넘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 측은 억울함을 호소했다. 김 위원장 측 관계자는 “‘윤핵관(윤석열 후보 측 핵심 관계자)’들에 둘러싸인 윤 후보가 선대위 쇄신과 관련해 또다시 결정을 미룰 가능성이 있어 김 위원장이 전격적으로 발표했던 것”이라며 “‘후보 패싱’이라기보다는 불가피했던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선대위 관계자는 “윤 후보와 김 위원장 간의 갈등이 알려진 것보다 심하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민의힘 내부 분위기가 우호적이지 않았던 것은 김 위원장에게 악재로 작용했다. 한 재선 의원은 “대선에 질 경우 우리는 계속 야당을 해야 하지만, 김 위원장은 떠나면 그만인 인물이라는 시각이 존재한다”면서 “김 위원장이 자신의 주장을 앞세우기보다는 조금 더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고 말했다.
문동성 손재호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