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수장들 ‘가계대출 규제’ 한목소리

입력 2022-01-04 04:06
서울 시중은행 상담창구에서 한 여성이 3일 대출 상담을 받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어서 대출 문턱은 낮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뉴시스

금융당국 수장들의 새해 첫 일성은 가계부채 관리강화였다. 지난해 비슷한 시기에 임명된 고승범 금융위원장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신년사에서 가계부채 리스크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나가겠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당국이 대출 규제에 대한 완강한 입장을 이어나가며 올해도 대출 여력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고 위원장은 신년사에서 “금융위는 지난해 금융불균형 심화에 대응해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했고, 비상조치로서 총량관리 등을 강도 높게 추진했다”며 “그 결과 가계부채 증가세는 차츰 안정세를 띠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위기, 글로벌 긴축 전환 등으로 시장 리스크와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도)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지목되는 가계부채의 관리 강화를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도 총량 관리 등 고강도 규제를 이어나가며 가계부채 증가율을 4~5%대로 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도 3일 신년사에서 “글로벌 경제의 방향이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에서 민간부채 증가와 자산가격 상승은 국내 금융 불균형을 확대시키고 있다”며 “잠재적인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관리에 나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외화 유동성 등 모든 가능성에 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두 수장은 행정고시(28회) 동기로 절친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수장들의 신년사에서 보듯 당국의 고강도 대출 규제는 올해도 변함없이 이어질 전망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는 이미 지난 1일부로 2단계 시행에 들어갔고, 연 소득으로 제한된 신용대출 한도도 풀릴 기미가 없는 상황이다.

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