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일 신년사에서 “최근 주택가격 하락세를 확고한 하향 안정세로 이어가면서 실수요자들을 위한 주택 공급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발표한 임기 마지막 신년사에서 “마지막까지 주거 안정을 위해 전력을 기울이겠다. 다음 정부에까지 어려움이 넘어가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신년사에서 “주거 문제의 어려움으로 낙심이 큰 국민들께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고 했던 문 대통령이 1년 만에 집값 안정 추세를 언급한 것이다. 공급 확대 등의 정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들어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한풀 꺾였고, 일부 지방 주택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진척 없는 남북 관계와 관련해선 “미완의 상태인 평화를 지속가능한 평화로 제도화하는 노력을 임기 끝까지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남과 북의 의지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라며 “다시 대화하고 협력한다면 국제사회도 호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종전선언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임기 내 종전선언이 사실상 어려워진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오는 3월 대선과 관련해 “적대와 증오와 분열이 아니라 국민의 희망을 담는 통합의 선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국방력 강화와 권력기관 개혁 등의 성과를 강조한 반면 최근 불거진 월북 사건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통신 조회 논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국민의힘은 “자화자찬, 딴 세상 인식이 마지막 신년사까지도 반복됐다”고 비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