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우리 국민으로 추정되는 1명이 강원도 22사단 지역 최전방 철책을 넘어 월북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철책을 넘는 장면이 감시장비에 포착됐고 경고등도 울렸지만, 군은 3시간이 지나서야 월북 사실을 파악했다. 새해 벽두부터 대북 감시망에 구멍이 뚫린 것이다.
합동참모본부는 2일 “전날(1일) 오후 9시20분쯤 동부전선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미상 인원 1명을 감시장비로 포착하고 신병 확보를 위해 병력을 투입, DMZ 작전을 하던 중 해당 인원이 오후 10시40분쯤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월북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이 사람은 앞서 1일 오후 6시40분쯤 일반전초(GOP) 철책을 넘었고, 이 장면은 과학화 경계감시장비에 포착됐다. 합참 관계자는 “당시 CCTV 감시병이 인지하지 못했고 이후 재생 과정에서 월책 모습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철책에 설치된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광망체계 경보도 정상적으로 작동해 당시 초동조치 부대가 출동했으나 ‘철책에 이상이 없다’고 자체 판단하고 철수했다.
철책을 넘어간 사람은 오후 9시20분 MDL 이남에서 군 열상감시장비(TOD)에 다시 포착됐다. 군은 병력을 출동시켜 긴급 작전을 펼쳤지만 신병 확보에 실패했다. 군은 오후 10시40분쯤 이 사람이 MDL 이북으로 넘어간 사실을 TOD를 통해 최종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군은 3시간 동안 월북 사실을 몰랐고, 이후 신병 확보 작전에서도 실패했다. 합참 관계자는 “초동조치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확인했다면 하는 미흡한 부분은 있었다”고 시인했다.
월북자의 신원과 생사는 확인되지 않았다. 2020년 9월 북한이 월북한 우리 공무원을 살해한 일이 있어 군 당국은 국민 보호 차원에서 2일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대북 통지문을 발송했다.
군 당국은 월북자를 민간인으로 추정하면서 탈북민 여부 등을 파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월북 이후 (북측) 미상 인원 4명이 식별됐다”며 “월북과 직접적 관련성이 있는지는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월북 사건이 발생한 부대는 지난해 2월 ‘오리발 귀순’, 2012년 10월 ‘노크 귀순’ 등으로 홍역을 치른 육군 22사단이다. 전방과 해안 경계를 동시에 맡고 있는 유일한 부대로, 인력에 비해 감시 업무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그만큼 잦은 사건·사고로 군 간부 징계가 빈번해 ‘별들의 무덤’으로 불린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