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첫 발행된 제주 지역화폐(탐나는전)의 하나로마트 사용 여부를 놓고 제주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28일 제주도와 농협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 제주도는 제주연구원에 ‘지역화폐 발행이 제주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의뢰했다. 농협은 한국농식품정책학회에 ‘농협 하나로마트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용역을 맡겼다. 두 연구 모두 늦어도 내년 1월 중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이번 논란은 제주도가 지난해 11월 첫 발행한 지역화폐 사용처 중 도심지역 하나로마트와 연 매출 500억원 이상의 하나로마트 지역점을 제외하면서 시작됐다.
도는 지역화폐 발행이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인 만큼 사실상 대형마트와 다를 바 없는 하나로마트를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농협은 매장을 운영하는 단위농협의 조합원이 제주 농민이고 납품처가 지역 1차 산업 종사자와 중소업체들이어서 지역화폐 사용처로 지정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문제는 제주도민들의 하나로마트 이용률이 높다는 점이다. 전국 2150개 하나로마트 중 매출 규모 1위 매장(건입동 제주시농협 제주점)과 매출액 5위 이내 매장(애월읍 하귀점)이 제주에 있다. 특히 내년 신설되는 제주 농민수당이 지역화폐로 지급되면서 논란은 한층 가열되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도농복합도시라는 제주의 특성에 따라 도민 편의와 하나로마트의 지역 기여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지난 1년 간 지역화폐 사용처를 분석해 하나로마트 추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