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대기업 총수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하며 청년 일자리 창출을 당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 구현모 KT 대표가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제도 교육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노력했다”며 “그러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몫이고 정부는 최대한 지원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기업 총수들은 정부의 민관합동 일자리 창출사업인 ‘청년희망ON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기업 대표들이다. 삼성 등 6개 대기업은 앞으로 3년간 17만9000개의 청년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청년들이 잃어버린 세대로 주저앉지 않도록 기업인 여러분이 든든한 힘이 되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임기가 5개월도 남지 않았지만, 대통령과 기업 총수들이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것은 긍정적이다. 청년 일자리 외에도 코로나19 충격을 극복하는 데 기업들의 협조가 필수적일 것이다. 문 대통령이 일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재용 부회장을 초청해 격려한 것도 기업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사실 문재인정부가 지난 4년간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 전환, 주 52시간제 도입, 탈원전, 탄소중립 등 핵심 정책들이 모두 논란을 빚었다. 대부분 의도는 좋았으나 결과가 좋지 못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악재까지 겹쳤다.
‘3개년 채용 계획’과 같은 이벤트성 약속으로는 청년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결국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기업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정부는 불합리한 규제를 개혁하고 기초과학 육성, 노동시장 개혁 같은 국가적 지원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과제에 전념해야 한다. 문 대통령과 기업인들의 일자리 회동이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사설] 대통령과 기업인의 일자리 회동 이벤트에 그치지 않아야
입력 2021-12-28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