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 2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송년 기자 간담회에서 “과거에는 전 세계가 (글로벌 공급망을) 다 같이 썼는데, 이제는 진영별로 쪼개질 수 밖에 없다. 공급망 재편이 되니까 반도체 업계에는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위험으로 작용하는 것도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등 국내 주요 산업의 위기 해결을 위해 기업과 국가의 ‘원팀’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반도체, 배터리 관련된 것들이 이제는 각 국가들이 경제안보로 접근한다”면서 “반도체, 탄소 문제가 다 연결돼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고 우리나라 핵심 산업이 다 얽혀 있어서 우리나라가 비전과 방향을 세우고 다른 나라와 소통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도 국내 경제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최 회장은 “코로나 상황이 벌써 2년을 지나고 내년에는 3년째에 접어들어 이제는 단기 대응을 하던 시기는 지나고 장기적인 영향(임팩트)이 올 시기가 됐다”면서도 “우리나라 수출이 잘 된 이유는 코로나로 셧다운됐던 다른 나라에 비해서 한국은 코로나로 제조업이 셧다운 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나라 방역체계가 앞으로도 잘 작동한다면, (업종별로) 명암의 차이가 있겠지만 내년도 경제전망은 나쁘지는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부족 등 상황에서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지 제품을 만들어서 밖에 파는 것만으로 성장하기에는 한계가 와있고 새로운 성장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탄소 감축에 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당면한 과제이나 정부가 주도하는 형태만으로는 탄소 감축 달성이 어렵다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탄소를 많이 배출하면 벌금, 세금을 내게 하겠다는 정책만으로는 목표가 달성될 수 없으며, 기업들이 발생하는 탄소를 더 줄일 아이디어를 내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최 회장은 올 초부터 대한상의 회장을 맡아 ‘국가 아이디어 공모전’ ‘소통플랫폼’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활발하게 진행해왔다. 이에 대해 그는 “이런 것(활동)들이 모두 미래에 기업이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고 미래 성장을 위해 민관이 하나의 원팀이 되는 데 있어 중요하다”면서 “소통을 통해 반기업정서가 어느 정도 해소돼야 기업의 역할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고 사회가 원하는 형태의 일들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