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미세먼지 개선 정책 성과’ 코로나 영향 뺀 채 일방적 결론

입력 2021-12-24 04:06
지난해 12월 23일 전국 대부분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나타내면서 서울 송파구 성내천 인근 산책로가 미세먼지로 희뿌옇게 보인다. 연합뉴스

환경 당국이 지난해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은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등 정책 성과에 따른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다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영향 등을 배제하고 내린 결론이라 지나친 자화자찬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3일 “2020년도 초미세먼지 농도 및 배출 변화 특성 연구를 통해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선박 연료유 기준 강화 등 초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과학원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4년 최고 수준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8년 23.3㎍/㎥에서 지난해 21.6㎍/㎥로 줄었고, 같은 기간 중부권은 22.9㎍/㎥에서 21.9㎍/㎥로 감소했다.

과학원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100나노미터(㎚) 이하 입자의 시간당 개수를 비교해 보면 수도권과 백령도에서 자동차 배출에 따른 입자 개수의 증감이 뚜렷했다”며 “수도권에서는 5등급 노후차량 대수가 2년 새 약 41% 줄어 입자 감소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또 과학원은 선박 연료유로 주로 쓰이는 중유를 연소할 때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바나듐과 니켈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2018년 이후 감소 폭이 도드라졌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외 선박 연료유 관련 기준 강화 정책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환경부와 과학원은 이번 연구 결과에서 ‘코로나19 영향’을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올해 초 과학원이 “지난해 초미세먼지가 2015년 관측 이래 가장 낮게 검출된 이유는 코로나19 영향과 중국 미세먼지 개선 때문”이라고 밝힌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는 코로나19 사태로 한국·중국의 공장 가동률과 차량 이동률이 많이 감소하는 등 경제활동이 위축됐고, 이로 인해 대기질이 대폭 개선됐다는 분석이 많았다. 환경부 연구 결과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한 환경 전문가는 “정권 말이다 보니 미세먼지 문제의 긍정 변화를 정책의 성공 사례로 만들려는 시도로밖에 안 보인다”고 지적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