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제2부속실 폐지 공약에 靑 일각 “외교 활동 위축 우려”

입력 2021-12-24 04:06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지난 30일 오전(현지시간) G20 정상 배우자들과 친교를 위해 방문한 로마 콜로세움에서 질 바이든 미국대통령 부인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언급한 청와대 제2부속실 폐지 방안을 두고 청와대 일각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영부인을 보좌하는 2부속실이 사라지면 다자외교 무대에서 이뤄지는 퍼스트레이디 간의 외교 활동이 위축되고, 국익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3일 “제2부속실을 없앨 경우 그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부속실은 제1부속실과 제2부속실로 구분된다. 제1부속실은 대통령의 일정을 보좌한다. 최상영 비서관이 이끄는 제2부속실은 김정숙 여사의 행사를 도맡는다. 김 여사의 관저 생활을 보조한다.

제2부속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재임하던 1972년 7월 신설됐다. 여성이면서 미혼이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도 소외 계층을 위한 민원 창구로 활용하겠다며 제2부속실을 그대로 운영했다.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 과정에서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 활동을 제2부속실이 지원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논란을 빚었다.

‘정윤회 문건’ 사태 직후인 2015년 1월 제2부속실은 잠시 해체됐지만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복원됐다.

현재 제2부속실에선 최 비서관을 포함해 4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이 직원들이 김 여사의 연설과 의상 등을 담당한다. 김 여사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 사태 전까지 매주 2~3개의 일정을 소화했는데, 2부속실이 행사 준비를 전담했다.

청와대는 제2부속실이 사라질 경우 외교 공백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통상 다자회의 기간에는 배우자 프로그램이 이뤄지는데 영부인을 보좌하는 조직이 없다면 이런 행사를 준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권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C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방한하면 질 바이든 여사가 같이 오는데, 이때 여사와의 외교를 담당하는 사람은 대한민국의 영부인”이라며 “대선 후보 배우자에 대한 위법적 행위를 지적하니까 일종에 꼼수와 면피성 발언으로 이걸 외면하고 싶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