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한테 강제로…” 학교는 지금 백신·검사 갈등중

입력 2021-12-22 00:02
보건소 관계자들이 21일 오전 광주 남구 한 초등학교에서 이 학교 재학생을 상대로 코로나19 전수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광주 지역에선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코로나19 지역감염이 학교와 유치원 등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소아·청소년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 거듭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학부모와 학생들의 반발 기류도 계속되고 있다. 접종 제고 방안인 ‘찾아가는 학교 백신 접종’이나 ‘전교생 유전자증폭(PCR) 검사’에 대해 “강압적 조치”라는 목소리도 큰 상황이다. 이런 조치에 대해 아동학대라며 경찰에 신고하는 일마저 발생하는 등 학교가 ‘방역 갈등’의 최전선이 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A중학교는 지난 16일 찾아가는 학교 백신 접종을 시행했다. 지역 보건소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희망 학생들에게 백신을 놔줬는데, 이를 두고 한 학부모 단체가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과 위험성을 자세히 고지하지 않고 강제적으로 학생들에게 백신 접종을 실시했다”며 아동학대,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경찰에 학교를 신고했다.

21일 국민일보 취재 결과 A중학교는 사전에 백신 접종 수요를 조사해 전교생 753명 중 78명만 접종을 신청했다. 접종 당일 8명의 학생이 접종을 거부해 결과적으로는 10% 정도인 70명만 부모 동의를 받아 접종을 마쳤다. 학교 관계자는 “학교 백신 접종 사업은 부모의 동행이 어려운 학생 등을 대상으로 희망 여부를 사전에 조사한 뒤 교육부 주관으로 시행됐다”면서 “부작용 등에 대한 안내도 대상자에게 미리 했기 때문에 강제성은 전혀 없었다”고 설명했다.

PCR 검사를 시행한 학교도 ‘강압’ 시비에 휘말렸다. 경북의 B초등학교는 지난 14일 교내에서 확진자 다수가 나오자 방역 당국의 안내에 따라 학교 내에 선별진료소를 설치한 후 전교생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시행했다. 그러자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이 반발하면서 학교 측을 아동학대 혐의로 신고했다. B초등학교 교장은 “방역 당국의 연락을 받아 매뉴얼에 맞춰 학생들에게 선제검사 관련 안내를 했을 뿐인데 마치 학대인 것처럼 오해받아 안타깝다”고 했다.

이런 갈등의 배경에는 코로나19 확산 속에 전면등교 방침과 철회, 방역패스 도입 논란 등 학교 관련 방역 정책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누적된 측면이 있다. 특히 방역패스 도입 문제를 두고는 충분한 설득 작업을 하기 전에 청소년 백신 접종 당위성만 강조하며 밀어붙인다는 비판이 많다.

정부로서는 소아·청소년에 대한 접종률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로 접종 대상군이 아닌 초등학생 연령대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급증하는 추세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만 7~12세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지난주 4325명을 기록, 2주 새 2배 가까이 늘었다. 앞선 3주 동안에는 매주 약 1800명, 2400명, 3700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이와 비교해 백신 접종률이 높아진 중학생 연령대에서는 지난주 확진자(약 1500명)가 소폭 줄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체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커지면서 접종을 받지 않은 청소년과 11세 이하, 또 원천적으로 예방접종이 불가능한 연령층에서 감염이 함께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