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국(사진) 청와대 민정수석이 21일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이 불거진 지 하루 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를 즉시 수리했다.
이번 논란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공정성 문제를 건드렸다는 판단하에 청와대가 속전속결로 사안을 마무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취임한 민정수석 다섯 명 모두가 논란 끝에 퇴진하면서 문 대통령의 임기 말 레임덕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김 수석의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김 수석의 아들 김모(31)씨는 최근 여러 기업에 “아버지가 민정수석이다. 아버지께 말씀드려 이 기업의 꿈을 이뤄드리겠다”는 내용의 입사지원서를 제출했다. 김씨는 이력서에 허위 학력을 기재한 의혹도 받고 있다.
청와대는 김 수석이 아들의 취업 과정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수석의 아들은 불안과 강박 증세 등으로 수년간 치료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김 수석은 “제 아들이 부적절한 처신을 한 것은 전적으로 저의 불찰”이라며 “아버지로서 부족함이 있었다”고 사과했다. 그는 이어 “국민을 섬기는 공직자는 가족과 관련해 한 점의 오해나 의혹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면서 “책임을 지는 것이 당연한 도리”라며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김 수석이 9개월 만에 청와대를 떠나면서 이번 정부 ‘민정수석 잔혹사’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조국 전 민정수석은 청와대를 떠난 이후 가족 관련 비위 의혹으로 법무부 장관직을 사퇴했다.
이후 김조원 전 수석은 부동산 문제로 물러났다. 김종호 전 수석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갈등 과정에 대한 책임으로 직을 내려놨다. 현 정부 네 번째 민정수석이었던 신현수 전 수석 역시 검찰 인사를 둘러싼 패싱 논란 속에 민정수석실을 떠났다.
청와대는 후임 수석 찾기에 돌입했다. 다만 문 대통령의 임기가 5개월밖에 남지 않아 외부 인사 수혈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기헌 민정비서관이 승진하거나 당분간 대행을 맡을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