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드라마 ‘설강화’를 둘러싼 역사 왜곡 논란이 드라마 방영 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이 드라마의 방영을 중지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20만명이 넘게 참여했다.
‘설강화’의 첫 회가 방영된 지난 1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게재된 ‘드라마 설강화 방영 중지’ 청원에는 20일 오전 7시 기준으로 23만4000여명이 동참했다.
청원인은 “(드라마) 제작진은 ‘남녀 주인공이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거나 이끄는 설정은 대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으나 1회가 방영된 현재 드라마에서 여주인공은 간첩인 남주인공을 운동권으로 오인해 구해줬다”고 지적했다.
이어 “간첩인 남자 주인공이 안기부(국가안전기획부)에 쫓겨 도망갈 때 배경 음악으로 ‘솔아 푸르른 솔아’가 나왔다. 이 노래는 민주화 운동 당시 사용된 노래이며, 그런 노래를 1980년대 안기부 소속 인물을 연기한 사람과 간첩을 연기하는 사람의 배경 음악으로 사용한 것 자체가 용인될 수 없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설강화’는 전두환 정권 때인 1987년을 배경으로 한 시대극이다. 남파 간첩과 민주화 운동을 하는 여학생의 사랑을 담은 설정 탓에 논란을 빚었다. 남자 주인공 임수호(정해인)가 운동권 학생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간첩이라는 설정이 학생운동을 폄훼하고 간첩을 미화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반면 공개된 스토리가 일부에 불과한 만큼 드라마를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기업들은 드라마 협찬을 줄줄이 취소했다. 도자기업체 도평요와 떡 브랜드 싸리재마을, 패션업체 가니송, 차 브랜드 티젠과 한스전자 등이 협찬을 철회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