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이 ‘탄소 제로 공원’으로의 전환에 본격 돌입한다. 동·식물 자연생태계 보존 임무를 계속해 나가면서, 나무·갯벌 등을 활용한 ‘국가 탄소흡수원 허브’ 역할을 대폭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16일 “2030년까지 국립공원 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2030 국립공원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육상과 해상·해양국립공원에서 탄소흡수원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국 22개 국립공원에는 국내 생물종의 약 42%,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약 66%가 서식하고 있다. 연간 방문객은 약 4300만명에 달한다. 국립공원은 동식물 서식지 보호 역할과 함께 탄소흡수원으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토의 6.7%를 차지하는 국립공원은 연간 320만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다. 산림 부문에서만 3억50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저장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 부분의 헥타르(ha) 당 이산화탄소 저장량(909t)은 아시아 평균값(499t)의 2배 가까이 된다.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국가 탄소중립 달성 시기는 2050년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이보다 20년 앞선 2030년까지 국립공원을 탄소 제로 공원으로 탈바꿈한다는 도전적 과제를 내놨다. 공단 관계자는 “국립공원은 국민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며 “세계의 허파라 불리는 브라질에 아마존이 있다면 국립공원은 한국의 허파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립공원의 ‘2030 탄소중립’ 실현 전략은 탄소흡수량 확대, 기후변화 적응, 국민 인식 확산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공원 내에 재생에너지 시설을 확대하고 친환경 교통체계를 확립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내용을 전략에 포함했다. 육상·해양 생태계의 탄소저장량과 흡수량을 정량 평가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또 기후변화가 국립공원에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해 단계별 적응 대책을 수립하고, 비대면·인공지능형 공원 관리를 위한 ‘디지털파크’ 구축도 본격 추진한다. 국립공원의 체험·교육은 물론 현장관리에 인공지능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연말까지 설악산·북한산·경주 등 3개 공원에 디지털파크를 시범 구축한 뒤 2024년까지 모든 국립공원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국립공원은 탄소중립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국민 실천 인식 확산에도 참여한다. 이를 위해 탄소중립형 공원 마을을 조성하고 저탄소 생태관광을 주요 관광 콘텐츠로 앞세운다. 특히 탄소중립 생태 문화·교육 플랫폼을 구축해 탐방객 등이 직접 탄소저감을 실천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방침이다.
국립공원공단 관계자는 “탄소중립 생태 문화·교육 플랫폼 사업이 2025년까지 마무리되면 탄소중립 사회에서 국립공원의 가치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