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수산화리튬 상용화 사업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2024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리튬 공급이 부족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18년 인수한 아르헨티나의 ‘염호’를 기반으로 수산화리튬 상용화에 무게를 싣기 시작한 것이다.
포스코는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염수리튬을 통해 수산화리튬을 상용 생산하는 투자사업을 지난 10일 이사회에 보고하고 승인받았다고 16일 밝혔다. 투자비는 약 8억3000만 달러(약 9500억원)로 포스코아르헨티나에 증자한다. 생산공장은 연산 2만5000t 규모로 내년 상반기 아르헨티나에서 착공 예정이다. 2024년 상반기에 준공을 목표로 한다. 포스코는 추가로 2만5000t의 리튬 생산 능력을 갖춘 2단계 증설 투자도 검토 중이다. 수산화리튬 2만5000t은 전기차 약 60만대에 사용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는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부근에서 데모플랜트(사진)를 1년 이상 가동하면서 상업 생산할 채비를 마쳤다. 상용 생산에 들어가면 포스코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염수, 광석, 폐배터리 모두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올라운드 리튬 생산 플레이어’로 도약하게 된다. 포스코는 2025년 연간 11만t, 2030년 22만t의 리튬 생산능력을 구축할 방침이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