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일 기준으로 8000명대, 위중증 환자가 1000명대에 육박하면서 청와대가 당황스러운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국민과의 대화’에서 “1만명의 확진자가 나올 것을 대비했다”면서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다”고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한 달도 안 돼 상황은 급반전됐다. 정부는 사적모임 허용 인원 축소 등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를 검토하는 처지에 다시 내몰렸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가 위기 상황에 대한 철저한 대비 없이 너무 일찍 단계적 일상회복을 추진하는 바람에 사태를 악화시켰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15일 방역조치 강화 가능성에 대해 “위중증 환자와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돌파감염 때문에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숫자가 늘어나 지난달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도 “어렵게 시작한 단계적 일상회복을 되돌려 과거로 후퇴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랬던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오미크론 확진자가 국내에서 발생한 이후 입장을 바꿨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방역의 벽을 다시 높일 수밖에 없는 정부의 불가피한 조치에 대해 국민들께 이해를 구한다”고 말했다. 1주일 만에 정반대의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연합뉴스TV 인터뷰에서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할 때 엄중한 상황이 오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 있다고 밝혔다”며 “그때그때 상황에 기민하게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8000명에 달하는 일일 확진자 규모는 현행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위중증 환자가 1000명대에 근접하면서 병상 대란이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거리두기 기간 동안 정부는 병상 확충과 3차 접종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가 의료계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달 29일 권고문을 내고 “정부는 최악의 상황을 미리 가정하고 위중증 환자에 대한 추가 방역을 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3박4일간의 호주 순방을 마무리한 문 대통령은 코로나 상황을 직접 챙길 방침이다. 문 대통령이 다음 주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단계적 일상회복 중단에 대해 양해를 구할 가능성도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