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 부인 김건희씨의 허위 경력 의혹이 커지고 있다. 김씨가 2007년 수원여대 겸임교수 임용에 지원할 때 제출한 지원서에 허위 경력을 기재했다는 게 의혹의 골자다. 구체적으로 한국게임산업협회 기획이사 경력과 2004년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대상 수상 경력이다. 김씨는 수원여대 광고영상과 겸임교수로 1년간 강의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씨가 2013년 안양대에 제출한 이력서에도 허위 경력을 적었다고 주장한다.
윤 후보와 김씨는 제기된 의혹들을 분명하게 해명해야 한다. “결혼하기 전 일”(이준석 대표)이라거나 “전체적으로 허위가 아니다”(윤 후보)라는 식의 해명은 부적절했다. 대학입시와 겸임교수 채용이 다르다는 주장도 사리에 맞지 않는다. 대선 후보 부인에 대한 신상털기나 음해성 흑색선전에는 반대한다. 일부 민주당 인사들이 김씨에게 쥴리 의혹을 제기하거나 성형 프레임을 씌우는 것은 부끄러운 짓이다. 그러나 대선 후보 부인은 공인에 가까운 신분이다. 제기된 의혹을 설명할 의무가 있다. 국민들이 대통령 후보 부인에게 요구하는 기준도 높은 편이다. 김씨는 박사학위 논문 표절에다 주가조작 가담 의혹도 받고 있다.
김씨는 논란이 커지자 연합뉴스 기자를 만나 “사실관계 여부를 떠나 국민께서 불편함과 피로감을 느낄 수 있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윤 후보도 “국민 눈높이에서 봤을 때 미흡한 것이 있다면 송구한 마음을 갖는 게 맞는다”고 말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서둘러 진화하려는 모양새다. 그러나 윤 후보는 김씨의 사과 발언 직전에는 “(당시) 관행이나 현실을 보라”고 반박했다. 겸임교수 선발은 정규직을 뽑는 것처럼 엄격한 절차가 없고, 사단법인 이사도 느슨한 자리이니 크게 문제 될 게 없다는 취지였다.
윤 후보와 김씨는 국민과 검찰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가족들에게 요구했던 엄격함을 생각해야 한다. 잘못한 일이 있다면 사과하고 책임질 일이 있다면 책임지는 게 순리다. 국민 앞에 등장하지 않은 채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억지 사과, 면피용 사과를 한 것으로는 의혹을 해소하지 못한다.
[사설] 김건희씨 의혹, 해명도 사과도 국민 눈높이 안 맞아
입력 2021-12-16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