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수소경제 선도 위한 한국·호주 협력

입력 2021-12-16 04:07 수정 2021-12-16 04:07

호주는 오랜 우방국이자 6·25전쟁 참전 동맹국이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나라 세계 2위며 천연가스와 광물 최대 수입국이기도 하다. 한국과 호주는 반세기 넘게 신뢰를 통해 상호 호혜적인 발전을 이뤄 왔으며 2014년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통해 경제 협력을 한 단계 더 높이기도 했다.

양국이 다시 한번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글로벌 환경 위기 타개와 급변하는 에너지 전환 정세 대응을 위해 수소를 중심으로 한 신경제 도약을 함께 꿈꾸기로 했다. 지난 13일 문재인 대통령의 호주 국빈방문을 계기로 수교 60주년을 맞은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승격했다. 양국 정상이 신산업·일자리 창출 기회를 만들어 나가자는 의미의 ‘탄소중립 및 수소경제 협력 약정서’에 서명한 것도 동반자 관계 승격의 일환이다. 새로운 수소 파트너십을 맺은 것이다.

양국은 수년 전부터 전략적 수소 협력을 논의해 왔다. 지속가능한 탈탄소 경제로 전환하자는 데 공감해 2019년 9월 ‘수소 협력 의향서’를 체결했다. 지난 10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만난 양국 정상은 ‘한·호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한발 더 나아갔다. 그린수소 및 암모니아, 수소연료전지차 등 수소 분야 협력 범위를 구체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호주는 우수한 자원 환경을 바탕으로 미래 최대 수소 생산국이 되겠다는 목표가 담긴 수소경제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청정수소 생산 경쟁력이 높으며 투자 환경도 양호하다. 파트너인 한국은 수소 모빌리티, 연료전지 등 활용 분야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수소 충전·운송 등 수소 생태계 관련 기술력도 뛰어나다. 수소 분야에서는 양국이 상호 보완적인 구조인 셈이다. 협력의 여지가 무궁무진하다.

유기적 협업을 위해 양국 정부와 민간 파트너십을 보다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었는데 이번 방문을 통해 이 문제가 해결됐다. 때문에 한국이 호주와 지금까지 쌓아온 에너지와 자원 분야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원인 수소 분야에서도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들어 낼 것이라 확신한다.

다만 아직 할 일이 많다. 정부는 지난달 26일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2050년에는 수소가 최종 에너지 소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30년에 390만t, 2050년 2790만t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로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 기술과 자본으로 해외 청정수소를 생산해 자급률을 60%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목표치를 액화천연가스(LNG)로 환산하면 현재 수입량(4000만t)보다 많은 7000만t에 달한다. 청정수소 확보를 위한 실질적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호주와의 협업은 좋은 계기가 됐다. 부족함이 없도록 다음 발걸음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