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삼성’ 인사제도 혁신안, 불만 목소리에 진통

입력 2021-12-15 04:05 수정 2021-12-17 17:54

삼성전자의 ‘뉴삼성’ 구상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인사제도 혁신안을 두고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취업규칙 변경에 대한 임직원 동의율도 낮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처럼 성과 중심의 유연한 조직문화를 정착시킨다는 취지이지만, 임직원들은 “회사 뜻대로 개편이 잘 될지 의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가장 큰 불만은 평가 제도에서 나온다. 삼성전자는 이번 개편안에서 최상위 고과 10%를 제외한 나머지 90%에 대해 절대평가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차상위 고과의 비율을 정하지 않고 성과에 따라 더 많은 사람이 상위 고과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의도다.

그러나 절대평가를 도입하면, 경쟁은 치열해지는데 보상이 미미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삼성전자 직원 A씨(28)는 “회사도 임금인상 예산이 한정돼 있어 차상위 고과자가 많아지면 임금 인상률은 이전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회사 규모나 성과와 비교하면 임금이 낮다는 인식이 있는 상황에서 보상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불만이 나온다”고 14일 말했다.

삼성전자는 직급별로 승진하기 위해 근속해야 하는 연한을 없애 인재를 조기 발탁·육성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허지만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연차가 높은 직원들은 기회를 빼앗길 것이란 위기감을, 젊은 직원들은 기성세대보다 연봉 인상과 승진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A씨도 “인재 조기 발탁은 극소수에만 해당하는 내용”이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사내 인트라넷에서 직급 표기를 없애는 등 수평적 조직문화를 도입하기 위한 파격조치도 단행했다. 공채제도가 유지되는 한 연공서열과 직급에 따른 수직적 문화가 완전히 사라지긴 어렵다는 비판도 있다. 삼성 계열사 직원 B씨(29)는 “조직 특성상 함께 일하다 보면 결국 누가 연차가 높은지 알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태기 단국대 교수는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하는 만큼 삼성이 창의성과 성과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인사제도로 개편하는 방향은 바람직하다. 다만 모두가 혜택을 볼 수 없는 제도인 만큼 충분한 설명과 보상으로 신뢰를 주지 않으면 반대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양한주 기자 1wee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