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역서 규모 4.9 지진 발생… 전남지역까지 흔들렸다

입력 2021-12-15 04:03
제주 서귀포 서남서쪽 41㎞ 해역에서 14일 발생한 규모 4.9 지진으로 건물이 흔들리면서 서귀포시1청사 밖으로 민원인과 공무원들이 몸을 피해 서 있다. 독자 제공

제주 해역에서 규모 4.9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들어 가장 강력한 규모다.

기상청은 14일 오후 5시19분14초 제주 서귀포시 서남서쪽 41㎞ 해역(북위 33.09, 동경 126.16)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당초 기상청은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가 4.9 규모로 하향 조정했다. 이번 지진은 2016년 발생한 경북 경주 지진(규모 5.8), 2017년 경북 포항 지진(규모 5.4) 이후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관측됐다.

지진의 발생 깊이는 17㎞로 추정된다. 기상청은 단층의 움직임으로 인해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추가적인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진 발생 이후 이날 여진은 2차례 더 관측됐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이번 지진이 본진일 수도 있지만 앞으로 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전진일 수 있다”며 “본진이라고 하더라도 향후 1주일 정도는 크고 작은 여진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번 지진 진도는 제주지역의 경우 Ⅴ등급이었을 것으로 봤다. Ⅴ등급은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이나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한다. 제주 지진의 여파로 전남지역에서도 Ⅲ등급(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리는 수준)의 진동이 감지됐다.

기상청은 최근 잇따른 일본 지진과의 연관성도 분석 중이다. 일본에서는 지난 2일과 12일 이바라키현 남부에서 각각 규모 4.0,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 여파로 도쿄 도심에서도 진도 3의 진동이 느껴졌다. 오창완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최근 일본 지진 발생이 많이 늘어난 것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진앙과 가까운 제주 서귀포 지역에서는 책상 위 투명 방역 가림막이 흔들리는 게 눈으로 보일 정도로 진동이 있었다. 한 주민은 “지면을 굴착기로 파는 것처럼 6~7초가량 강한 진동이 느껴졌다”고 말했다. 서귀포시 천지동의 한 공무원은 “진동에 놀라 일부 민원인과 업무 중이던 공무원이 책상 밑으로 몸을 숨길 정도였다”고 말했다.

신용일 기자, 제주=문정임 기자, 전남=김영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