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홍성교도소에서 수용자와 직원 등 30명이 무더기로 코로나19에 감염된 데 이어 서울동부구치소에서도 코로나 확진자가 또다시 나왔다. 동부구치소는 1년 전 1200여명 규모의 코로나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졌던 곳이다. 수용시설 내 대규모 확산 상황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자 법무부는 전국 교정시설 직원·수용자 등 7만여명에 대한 전수검사에 나섰다.
14일 법무부에 따르면 동부구치소 직원 490여명, 수용자 199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전자 증폭(PCR) 검사에서 여성 수용자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동부구치소 관련 확진자는 현재까지 모두 6명이다. 지난 6일 동부구치소에서 서울구치소로 이송된 수용자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8일에도 동부구치소 수용자 3명과 직원 1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법무부는 16일 동부구치소 여성 직원·수용자에 대해 추가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밀폐된 공간에서 집단생활을 하는 교정시설은 대표적인 코로나 취약 지대로 꼽힌다. 동부구치소에 이어 1년 만에 집단감염이 발생한 홍성교도소에선 현재까지 직원 3명과 수용자 27명 등 총 30명이 확진됐다. 그중 수용자 16명과 직원 3명은 2차 백신 접종까지 완료한 ‘돌파 감염’이었다. 지난 11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은 신규 수용자 1명은 2주 격리 전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정됐지만, 격리 후 재검사에서 양성으로 뒤집혔다. 지난해 12월 동부구치소 집단감염 당시에도 무증상 신규 입소자 등에서 전파가 시작돼 1200명 넘는 직원과 수용자로 확산됐었다. 법무부 관계자는 “감염 경로 등을 파악하기 위한 역학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확산세를 막기 위해 법무부는 17일까지 사흘간 전국 교정시설 직원 1만7000여명과 수용자 5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전수검사에 돌입했다. 검사 결과에 따라 밀접 접촉자에 대해선 코호트(동일집단) 격리 등의 조치를 즉시 시행할 방침이다. 직원과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 3차 접종(부스터샷)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법무부 측은 “방역 당국과 협조해 부스터샷이 늦어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교정시설 내 감염 사태로 재소자들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법원 재판 등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홍성교도소 집단감염으로 인해 이날 대전지법과 인근 지원의 재판 일정은 다수 연기됐다. 법무부 관계자는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법정 출석 등에 일부 제한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