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소득에 상관없이 무주택자 누구에게나 장기적으로 임대하는 ‘경기도형 사회주택’을 2026년까지 총 8550호를 공급하는 내용의 ‘2026 경기도 사회주택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사회주택이란 공공부지를 활용해 민간 사업자가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제공하는 공공주택이다.
도는 5년간 경기도형 사회주택을 포함해 사회주택 8550호 공급을 추진한다. 공급모델은 신도시 마을형(신규택지 건축 대규모 아파트형), 지역공동체형(기존에 형성된 공동체 중심 공모·신청), 공공주도형(공공임대주택 활용), 창의혁신형(사회적 경제주체 제안) 등 4개의 모델로 설계했다.
도는 이번 기본계획의 핵심 비전을 ‘경기도형 사회주택 공급으로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주거문화 확산 선도’로 설정했다. 추진전략으로는 주거복지 정책에 부합하는 사회주택 공급, 사회주택 허브 구축과 지역 공동체 활용, 공급 확대를 위한 창의적 접근, 사회주택 공급 생태계 구축 등으로 제시했다.
홍지선 도 도시주택실장은 “지속적인 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해 이번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매년 경기도 사회주택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