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8일 “내년 2월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 발표한 뒤 동맹을 중심으로 동참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한국 정부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미국은 보이콧 여부는 각국이 판단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라며 “우리 정부의 올림픽 참석에 대해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그간 베이징 올림픽을 무대로 한 종전선언과 남북 정상회담을 의욕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지난 6일(현지시간) 중국이 민감하게 여기는 인권 문제를 내세워 외교적 보이콧을 결정함에 따라 난처한 상황이 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9~10일 바이든 대통령이 화상으로 개최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자리에서 미국의 보이콧 동참 압박이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어떤 얘기가 있을지 예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청와대는 올림픽 개최까지 두 달여 시간이 남은 만큼 미·중 갈등 양상과 다른 국가들의 움직임을 봐가며 참석 여부와 방식을 최종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의 동맹국들은 속속 보이콧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미 정부의 공식 발표 직후 뉴질랜드가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한 데 이어 호주도 이날 가세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이번 결정이 중국의 신장 인권 탄압과 호주에 대한 경제적 보복 등 양국간 충돌 끝에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호주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 제재에 동참하고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요구하면서 중국과 관계가 틀어졌다.
영국도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한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8일 의회에서 “베이징올림픽에 장관 등이 참석하지 않기 때문에 외교 보이콧 효과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각료 파견을 보류하는 쪽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세환 기자,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